· 오형태, 『기독교는 사형제도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사형제도 이대로 좋은가』, 대한예수교 장로회총회사형제도폐지위원회 엮음, 서울: 쿰란출판사 1996, p.25.
· 임성빈, 『인간의 생명과 사형제도』, 『사형제도 이대로 좋은가』,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사형 제도폐지위원회 엮음. 서울: 쿰란출판사 1996, p54~56.
· 임성빈, 인간의 생명과 사형제도, 사형제도 이대로 좋은가,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p58,60.
· 유석성, 『사형과 인간의 존엄』, 한들출판산 2004, p.36.
· 오영근, 『사형폐지 논쟁의 역사적 고찰』,『사형제도의 이론과 실제』, 국제사명위원회 한국연락위원회(편), 까치 1989, p.44, 46~47.
· 오영근, “사형존폐 논쟁의 역사적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83, p. 44. 57.
· 베카리아, 『범죄와 형벌』, 한인섭 (역), 2010, p.111, 113~115.
· 한기찬, 『함께 넘어야할 사형이라는 벽』,『사형제도 이대로 좋은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사형제도폐지위원회 엮음, 서울:쿰란출판사 1996, p.127~128.
· 토마스 나탈레『효과 및 필요에 관한 정책적 연구』,석사논문, 전남대학교 2002, p.38.
· 민종기, 『사형제도 어떻게 볼 것인가』,『월간목회』, 301권, 2001 p.51.
· 문장식, 사형제도 폐지를 촉구한다, 월간목회 제 331권, 2004, 2, 39쪽.
· J. J Rousseau Du Contrat Social, 이환 역, 세계 사상 전집, 사회계약론, 삼성출판사, 1988, 317-318쪽.
· 임두빈, 양형제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1973, 20,23,29,36쪽.
· 이수성, 『형벌의 이념적 맥락에서 본 사형제도』, 서울: 까치출판사, 1989, p. 17.
· 양우석, “헤겔과 사형제도”, 학술논문, 헤겔연구 14호, 2003, p. 146.
· 정광호, “사형제도 폐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2000, p.26-27
· 김건상, “사형제도 존폐론에 관한 연구”, 목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3, p. 34.
· 이화룡, “우리나라 사형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필요성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p. 81.
· 한중관, 사형제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1989. 22쪽
· 국제사면위원회 한국연락위원회, 사형제도의 이론과 실제, 까치출판사, 1989, 46-47쪽
· 머니투데이, ‘전세계 사형 폐지 확산···오늘날 사형 집행국은?’, 이호기 기자, 2013년 4월 10일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