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순환계 정리(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급성 심근경색(AMI)의 원인/병태생리/증상과 징후/진단/치료/간호/심혈관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AMI 환자 간호)
- 최초 등록일
- 2018.04.05
- 최종 저작일
- 2017.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nurse_irene
3회 판매

소개글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를 목차대로 정리한 것 입니다.
시험기간 공부 혹은 요약정리 과제 시 참고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ACS)
① 불안정형 협심증
② 이형성 협심증
2.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협동적 관리
5) 진단
(1) 심전도 검사
(2) 심근효소검사
(3) 기타 혈액검사, 심초음파 검사, 핵의학 검사
6) 치료
(1) 환자후송과 응급의료
(2) 섬유소 용해요법
(3) 약물
(4) 1차 관상동맥 중재술
(5) 순환보조장치
7) 간호
(1) 심혈관계 중환자실 간호사
(2) 심장계 중환자실에서의 혈역학 감시
(3) 급성기 간호
(4) 합병증 예방 간호
(5) 심혈관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AMI 환자 간호
(6) 노인을 위한 고려
본문내용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ACS)
① 불안정형 협심증: 급성MI 나타나기 1-4주 전 나타남, =경색전증후군.
· 발작적인 흉통이 안정 중에도 일어남, 운동 중 발생한 흉통은 안정 취해도 경감 X. ★key-point!
· 흉통의 지속시간이 15-20분 이상 길어짐, 강도가 심해지나 심근괴사의 증거는 나타나지 X.
but MI 올 수 있다.
· 심근 효소치 상승→ 심근괴사의 증거,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 치료의 목적: 협심증 증상 완화 및 심근경색 예방
② 이형성 협심증
· 비특이성 협심증. 주요 관상동맥의 경련에 대한 반응으로 흉통 유발.
· 산소요구량 증가로 발생하지 않음!! → 신체 활동과 관계없이 휴식 or 특정한 시간에 나타남.
(운동 or 자연히 완화)
· 심전도에서 일시적으로 현저한 ST분절 상승 有
· 칼슘통로차단제(Verapamil, Diltiazem, Nifedipine), 나이트레이트(nitrate)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 괴사가 일어나는 것. ACS의 하나.
·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 ST분절 상승 심근경색 / 불완전한 폐색: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심장발작
·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인 질환, 초기 사망률 10~15%,
사망자 56%가 발병 1시간 이내 병원 밖에서 사망.
1) 원인: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되어 발생
2) 병태생리: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완전히 막히면 허혈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 시작.
3) 증상과 징후
· 급성 MI 환자의 1/3은 발병 1~4주 전, 2/3는 1주 이내에 협심통 경험 有,
환자의 50%는 모르다가 갑자기 발생.
· 심발작환자는 혈관폐색 일어나는 순간 갑작스런 흉통, 기운빠짐, 숨 참, 오심, 구토 호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