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근대교육문화-갑오개혁 이전
- 최초 등록일
- 2018.02.06
- 최종 저작일
- 2010.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우리나라의 근대교육문화-갑오개혁 이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대사회의 교육
2) 고려시대 교육
3) 조선시대 교육
4) 근대의 교육
본문내용
1) 고대사회의 교육
① 고조선
―단군신화와 팔조금법에 나타난 교육적 관점
㉠ 현세 지향적인 세계관
㉡ 인간주의적 관점을 포함
㉢ 홍익인간(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정신
㉣ 일종의 도덕 교육인 동시에 사회교화를 위한 교육실천
② 삼국시대
―고구려
㉠ 소수림왕 2년(371) 최초의 관학 태학 설립
㉡ 소수림왕 3년(372) 율령 반포
㉢ 사학의 시초인 경당 설립
⇒ 태학은 관리양성 목적, 경당은 초등에서 고등교육을 담당한 기관
―백제
㉠ 고등교육진흥책으로 박사제도가 있음
㉡ 학교에 대한 구체적 기록은 없지만 학교가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측
―신라&통일 신라
㉠ 학교기록은 없지만 삼국통일 이전까지 화랑도 제도가 교육 담당
⇒ 신라 청소년에게 군사적 기능과 시민의 덕성을 훈련시킴
⇒ 정서적 도야 및 인재양성과 국가 보호에 목적을 둔 우리 민족의 고유한 교육방식
- 문무왕 때 삼국 통일
㉡ 신문왕 2년(682) 국학을 세움
⇒ 당나라의 국자감 체제를 모방, 유교 교육체제를 도입
㉢ 원성왕 4년(788) 독서삼품과 시행
⇒ 국학 내에 설치된 새로운 관리채용을 위한 시험제도
참고 자료
교육사․교육철학(서재복 저,학이당)
한국 근대교육의 형성(김경미 지음, 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