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현.『한국 교회의 예배와 생활』. 서울: 양서각, 1984.
· 김남수.『예배와 음악』. 대전: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2008.
· 김득룡. 『현대교회 예배학 신강』. 서울: 총신대학 출판사, 1994.
· 김수확.『개혁과 예배신학』. 서울: 보문 출판사, 1982.
· 김소영.『예배와 생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4.
· 김소영. 『예배와 생활』.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2.
· 김현숙.『탈 인습성과 기독교교육』.(서울: 대한기독교 서회, 2004.
· 류세창.『개혁주의 예배학』. 서울: 성광 문화사, 1985.
· 박은규.『예배의 재발견』.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8.
· 박은규.외 3인,『기독교 입문』. 대전 : 목원대학 출판부, 1982.
· 옥성호.『마케팅에 물든 부족한기독교』.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7.
· 옥성호.『심리학에 물든 부족한기독교』.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7.
· 옥성호.『엔터테이먼트에 물든 부족한 독교』.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0.
· 유동식. 『민속 종교와 한국문화』. 서울: 현대 사상사, 1978.
· 윤성범. 『기독교와 한국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4.
· 이기문.『구약 원어 해설 사전』. 서울: 성서교육개발원, 1967.
· 이병렬.『다트 이스라엘』. 서울: 교민사, 1982.
· 이성희.『미래목회 대 예언』. 서울: 규장문화사, 1998.
· 이청근.『예배와 기독교교육』. 전북: 희망샘/전북기독신문출판부, 2011.
· 이현웅. 『이상적 교회 현실적 교회』. 서울: 프리칭아카데미, 2007.
· 정장복.『그것은 이것입니다』. 서울: 예배와 설교아카데미, 2009.
· 정장복.『설교학 개론』. 서울: 예배와 설교아카데미, 2008.
· 정장복.『예배학 개론』. 서울: 종로서적, 1985.
· 정성구.『실천신학개론』. 서울: 총신대학출판부,1985.
· 정용섭.『교회갱신의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9.
· 정일웅.『기독교 예배학 개론』.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1996.
· 조선출. 『그리스도교 대사전』. 서울: 대한기독교 서회, 1972.
· 한완상.『현대교회와 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 총회예식서개정위원회,『대한예수교장로회 예배. 예식서』. 서울: 한국장로 교출판사, 2011.
· 『기독교 대백과 사전』. 제4권 서울 : 기독교문사, 1985.
· 『성서대백과 사전』. 제8권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1981."예배"
· 『예배학 사전』.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0.
· Abba, Raymond/허경삼 역.『기독교 예배의 원리와 실제』.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74.
· Allmen, J. J. von/정용섭 외 3인 공역. 『예배학 원론』.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79.
· 커어, T. 휴/김영한 편역,『루터신학 개요』.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7.
· Drober, R. Hubertus/하성수 역.『교부학』. 서울: 분도 출판사, 2001.
· 게르하르트 프리드리히, 게르하르트 킷텔.『신약성서 신학사전』. 서울 : 요단 출판사, 1985.
· 지글러, M. 프랭클린/정진황 역.『예배학 원론』. 서울: 요단출판사,1993.
· Horn, T. Edward/배한국 역. 『교회력』. 서울 : 컨콜디아사, 1983.
· 핫즈슨, C. 피터/박근원 역.『교회론의 새 지평』. 서울 : 도서출판 진흥, 1996.
· 해리스, R. 레어드 글리슨 L. 아처 2세, 브수스 K. 월트케 편수. 『구약원어 신학사전』. 서울 : 요단 출판사, 1986.
· IIion, T, Jones. /정장복 역.『복음적 이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2.
· Küng, Hans/이홍근역.『교회란 무엇인가』. 서울: 분도출판사, 2005.
· Maxwell, D. William. 'A History of Christian Worship'/정장복 역.『예배의 발전과 그 형태』. 서울: 성지 출판사, 1994.
· Segler, M. Fraklkin/정진환 역.『예배학 원론』. 서울: 요나단 출판사, 1979.
· Segler, M. Franklin/이창희 역. 『목회학 개론』. 서울 : 요단 출판사, 1977.
· Stott, R.W. John/황을호 역.『기독교의 기본 진리』.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1.
· Sweet, Leonard. First Cenyury Passion for the 21st Century World/김영래 역. 『영성과 감성을 하나로 묶는 미래교회』.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 1988.
· 토저, W. A/ 이용복역. 『예배인가, 쇼인가?』. 서울: 규장, 2004.
· 토저, W. A/ 이용복역. 『하나님 편이가, 세상 편인가』. 서울: 규장, 2008.
· 웨버, E. 로버트/정장복 역.『예배의 역사와 신학』.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출판국, 1992.
· 김정호. “중국의 소수민족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개혁개방 이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2001.
· 김종규.“한국교회 디아코니아(Diakonia)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 대학원, 2003.
· 김일억. “중국의 개혁개방과 소수민족정책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 박근원. “예배와 성례전” 「예배. 설교. 선교」(서울 : 연신 목회자 신학 세미나 강의집. 1986).
· 서공석. “성찬의 교리 신학적 고찰.” (종교신학연구. 3집 1991).
· 안영복. “참된 예배의 성격과 방법.”「원간고신」(부산: 월간 고신사. 1982. 8).
· 이호형. “초대교회에서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었나?.”-초대교회 입교의 식의 유대교적 배경.「교육목회」 (1999. 가을).
· 정성구. “칼빈주의적 예배의 원리.” (신학지남. 87. 봄).
· 정용섭. “한국 프로테스탄트 교회 예배의 갱신.” 「신학사상」제4집(서울: 한국신학 연구소). (1976. 9).
· 정장복. “한국교회 예배. 예전형태 백년.”「기독교사상」(1984. 12).
· 정철법. “교회력과 예배의식.” 「예배. 설교. 선교」(서울 : 연신 목회자 신학세미나 강의집. 1986).
· 한완상. “무엇을 위한 예배인가.”「기독교사상」 (1972. 2).
· http://dic.daum.net/index.do?dic=kor (다음 국어사전)
· http://ko.wikipedia.org/ (위키 백과사전)
· http://kin.naver.com/ (네이버 지식 검색)
· http://www.cjob.co.kr/ (기독 정보넷)
· cafe.daum.net/dusonma (다음카페 두손 선교회)
· www.cyworld.com/jesusshalomwarrior/4797138 ( 블로그/유재덕)
· http://agora.media.daum.net/ (다음 아고라)
· http://www, wpa.or.kr/academy_bbs/view.asp
· (김용운, "예배가 살아야 교회가 산다,")
· (조기연, "열린예배의 예배학적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