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해, “군사혁신에 대한소고,”『주간국방논단』, 제 603호(서울 : 한국국방연구원,1996.10)
· 구형회, 안보환경의 변화와 군사혁신, 2015
· 국방부, 2014국방백서, 국방부,(2014)
· 국방부, 상게서
· 권태영(2005), 전게서
· 김강녕(2001)
· 이정민, “동북아의 전략적 부상과 미래전의 유형 :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전략연구』, 통권 제 17호(서울 : 한국 전략문제 연구소, 1999)
· 권태영, “21세기 한국적 군사혁신과 국방개혁추진,” 『전략연구』, 통권 제 35호(서울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5)
· 권태영, “미래전 양상 연구,”『2004년 육군전투발전』, (서울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4)
· 유제승 역, 『전쟁론』, (서울 : 책 세상, 2002)
· 육군대학 역,『미 야전교범 FM 3-0(Operation)』,
· 신성택/이준호, “미래 한국군의 전략무기,”『국방정책연구』,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3)
· 황치복, “종심 정밀타격체계의 발전추세와 미래대비책,” 『전투실험』, (서울 : 한국 전략문제연구소 : 2001)
· 박휘락, “군사혁신과 우리의 미래전 수행방식,” 『국방정책 연구』, 2000년 봄호(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0)
· 2. 국외문헌
· Jeffrey R. Cooper, Another view of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Carlisle Barracks penn : U, S. Army War College, 1994), pp.19-21
· Ibid
· Michael I, Handel, "Clausewitz in the Age of Technology, in Michael I, Handel ed, Clausewitz and Modern Strategy (London : Frank class, 1986)
· Earl H, Tilford,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 Cautions and Prospects(Carlisle Barracks, Pennsylvania : U.S. Army War College, 1995)
· 1) 군사혁신의 개념에 대해서는 Michel J. Mazarr,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 A Framework for Defense Planning, Fifth Annual Conference on Strategy, U. S. Army war College, Carlisle Barracks, PA, April 1994
· . : Jeffrey R. Cooper, Another view of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Fifth Annual Conference on Strategy, U. S. Army war College, Carlisle Barracks, PA, April 1994
· . 등 참조.
· 2) 서정해, “군사혁신에 대한소고,”『주간국방논단』, 제 603호(서울 : 한국국방연구원,1996.10), p.1.
· 3) Jeffrey R. Cooper, Another view of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Carlisle Barracks penn : U, S. Army War College, 1994), pp.19-21.
· 4) Ibid, p.28.
· 5) Michael I, Handel, "Clausewitz in the Age of Technology, in Michael I, Handel ed, Clausewitz and Modern Strategy (London : Frank class, 1986), p.54.
· 6) Earl H, Tilford,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 Cautions and Prospects(Carlisle Barracks, Pennsylvania : U.S. Army War College, 1995), p.2. 7) 구형회, 안보환경의 변화와 군사혁신, 2015
· 8) 국방부, 2014국방백서, 국방부,(2014), p21
· 9) 국방부, 상게서, p24
· 10) 권태영(2005), 전게서, p.82.
· 11) 빛의 전쟁은 레이저 광선 및 고도로 농축된 열에너지를 이용, 적의 센서 체계, 전자광학 장비, 인간의 시력, 항공기 및 첨단유도무기의 성능마비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무기체계에 의한 전쟁을 뜻함. 12) 김강녕(2001), 전게서, p.198.
· 13) 손자, 軍形 篇, ?昔之善戰者 先爲不可勝, 以待摘之可勝?.
· 14) 이정민, “동북아의 전략적 부상과 미래전의 유형 :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전략연구』, 통권 제 17호(서울 : 한국 전략문제 연구소, 1999), pp.115~116.
· 15) 권태영, “21세기 한국적 군사혁신과 국방개혁추진,” 『전략연구』, 통권 제 35호(서울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5), p.34.
· 16) 점혈(點穴)전략이란 손가락에 공력을 집중시켜 적의 급소를 찔러 목숨을 앗는 권법, 즉 상대의 약점을 찔러 마비시키는 비대칭 전략임.
· 17)권태영, “미래전 양상 연구,”『2004년 육군전투발전』, (서울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4), pp.98~99. 18) 유제승 역, 『전쟁론』, (서울 : 책 세상, 2002), p.320.
· 19) 대학 역,『미 야전교범 FM 3-0(Operation)』, p.133.
· 전략적 억제 전력은 평시에 억지의 의지를 표현하고, 전시에는 적의 중심에 대한 견제 또는 전략적 타격을 실시하기 위한 전력으로, 특히 원거리에 초점을 두어 거부적 억제를 구현는 주축전력. 신성택/이준호, “미래 한국군의 전략무기,”『국방정책연구』,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3), p.41.
· 상게서, pp.46~56.
· 황치복, “종심 정밀타격체계의 발전추세와 미래대비책,” 『전투실험』, (서울 : 한국 전략문제연구소 : 2001), pp.1~8.
· 박휘락, “군사혁신과 우리의 미래전 수행방식,” 『국방정책 연구』, 2000년 봄호(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0), p.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