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질문전략을 활용한 학습자 상호작용 중심 문학수업 방법 연구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 독자 반응중심 문학이론, 구성주의 이론에 접목하여 문학수업이란 학습자 스스로 문학텍스트의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고 학습자가 작품의 이해와 감상의 결과를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내면화함으로써 자아를 성찰하고 타자를 이해하며 삶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한다에 핵심을 두고 있다.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12.01 최종저작일 2016.06
25P 미리보기
질문전략을 활용한 학습자 상호작용 중심 문학수업 방법 연구
  • 미리보기

    소개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 독자 반응중심 문학이론, 구성주의 이론에 접목하여 문학수업이란 학습자 스스로 문학텍스트의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고 학습자가 작품의 이해와 감상의 결과를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내면화함으로써 자아를 성찰하고 타자를 이해하며 삶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한다에 핵심을 두고 있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이론적 준거
    2.1. 학습자 중심 문학수업
    2.2. 질문 전략

    3. 수업의 적용
    3.1. 수업 설계
    3.2. 모형개발
    3.3. 수업의 실제

    4. 나가는 글

    본문내용

    1. 들어가는 글
    학습자가문학텍스트를읽고그의미를이해한다는것은학습자와텍스트사이에 내재된다양한 맥락들의소통에 의한사고의 과정이다. 학습자는 문학텍스트를 독자나름의방식으로읽고자신의이해와감상에따라텍스트의의미를학습자의 눈높이에서새롭게재구성하기도한다. 이러한수용과생산은학습자가문학텍스트 와 인지적 정서적으로 얼마나 잘 소통하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제대로 된 소통 과정이 선행되어야 학습자가 텍스트를 이해하고 정서적인 감동을 느낄 수 있으며, 그 감동을자신의 삶으로내면화하여 인간의삶을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진정한 감상이 가능할 것이고 문학능력도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서구의문학교육은학습자와문학텍스트의상호작용에중점을둔독자반응중심 문학교육에서작가, 텍스트, 독자간의상호작용을통한보다포괄적인의미구성을 강조하는구성주의 관점으로변화해오면서1) 문학작품을보다효과적으로 읽을 수 있고,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체계적인 문학 교육 이론에 대한 연구를 쌓아가고있다. 이에반해우리의문학교육현실은아직도텍스트중심의객관주의 적 패러다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6차 교육과정부터독자반응중심 이론을 도입하고, 2007 ~ 2011년 개정교육과정까지 수용과 생산의 유기적 결합, 문학의사회적 소통등을 강조하며, 학습자의 주체적이고능동적인문학 해석을 위한과정중심, 학습자중심문학교육으로의방향을제시하고는있지만2) 교육과정 에 대한 인식 부족, 교육과정과 유리된 문학 교과서, 교수 학습 방법론의 부재, 평가방법의 혼재, 입시위주의 교육 여건등은 과거와크게 달라진 모습을보여 주지못하고있다. 결국평가와수업방식의개선이없는잦은교육과정의개편은 공론에 그치고 교사 위주의 지식수업은반복되고있는 실정이다. 점차한계점에 도달해가는우리의텍스트중심문학수업방식을개선하고학습자의상호작용이 수업의 중심이 되는 담화, 토론 수업3)으로의 전환은 절실한 시대적 요구이다. 최근교육현장에는 ‘질문이있는교실’이화두로등장하고있다.

    참고자료

    · 강인애,『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003, pp.74.
    · 구인환,『문학교수학습방법론』, 심지원, 199 8, 173면.
    · 김욱동,『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3, 113면.
    · 이상구,『구성주의문학교육론』,박이정, 2006, 45 -46면.
    · 이선영,『문학비평의방법과실제』, 삼지사, 2005, 124면. 3 89~391면.
    · 전성연 외 4명,『협동학습 모형 탐색』, 학지사, 2010, 42면.
    · 전성수,『자녀교육 혁명 하브루타』, 두란노, 2014. 151면.
    · 천경록.이재승,『읽기 교육의 이해』,우리교육, 1997.
    · 헤츠키아리엘리김진자공저『탈무드하브루타러닝』,국제인재개발센터, 2014.
    · Laura E. berk. 홍영희역,『어린이들의학습에 비계설정』, 창지사, 1995.
    · Schmidt, 박여성 옮김,『미디어인식론』, 까치, 1996.
    · 김도남,「상호텍스트성의개념과국어교육적함의 」,『한국어문교육』9, 2002.
    · 김상욱,「문학능력증진을위한문학토론의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41,2009.
    · 김상욱「문학적사고력과토론의중요성 」,『한국초등국어교육』24,2004,104면.
    · 김성진, 「2009개정교육과정문학영역의변화성과이후의과제 」,『국어교육연구』50, 국어교육학회, 2012. 109~112면.
    · 김수정, 「교사의질문유형과아동의동기유형이인지적과제수행능력에미치는 영향 」, 숙명여대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4.
    · 김용국,「초등학교 아동의 질문 -응답학습유형별 효과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류덕제, 「구성주의 관점의 문학교육 」,『초등교육』1 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2001.
    · 이경훈, 「초등영어수업의상호작용에나타난 교사질문분석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4.
    · 이상구, 「구성주의적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와 방법 」,『문학교육학』10, 문학교육학회, 2002.
    · 이성호, 「영향과 수용의 상호소통 」,『문학사상』3월호, 문학사상사, 1992.
    · 이인화, 「문학토론에서소설해석의양상에관한연구 」,『새국어교육』94, 2013.
    · 지은순,「질문만들기활동이아동들의읽기능력향상에미치는효과 」,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김혜경, 「자기질문전략훈련이아동의독해력과초인지에미치는효과 」,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 진선숙,「문학반응활성화를위한학생질문생성교수 .학습방안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정영복, 「학생질문생성전략이독해력에미치는효과 」,한국교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1.
    · Caner, R. L., Levels of questions. Education 83(9), 1963, May, 546-550.
    · Dillon, J. T., Student question and individual learning. Education Theory 36(4),1986, 333-341.
    · Frase, L. T. & Schwartx, B. J., Effect of question production and answering on proserecall. Journal
    · of Educational Psychology 67(5),1975,628-635. Wong, B. & Jones, Wo., Increasing meta prehension in L. D. normal achieving students through self-questioning training. Unpublished menuscrip. Simon
    · Fraser University, 1981.
    · Pedrosa de jesus. H, Teixeria-Dias. J.C. & Watts, M.(2003), Question of chemistry. International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25(8), 2003, 1015-1034.
    · Losenblatt. L. M., Viewpoint: Transaction versus Interaction: A terminological rescue operation.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19, 1985.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