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의 문제점과 국내외 사례, 교육사회학적 분석 및 해결방안
- 최초 등록일
- 2017.07.06
- 최종 저작일
- 2010.04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최신현황만 추가하여 활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교육의 정의와 발생원인
2. 사교육의 문제점과 사례
3. 사교육에 대한 외국의 사례
4. 사교육의 교육사회학적 접근
5. 사교육 해결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교육은 인간의 삶에 있어 더 없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요소 중 하나이다. 교육을 통해 인간은 기본적 지식과 교양을 함양하고, 지적․정신적 성숙을 도모하는 과정을 거치며 개인의 삶을 영위해간다. 특히 공교육의 등장과 유지는 인간을 개체이기 이전에 국민으로 정의내리고 국가 자체의 유지를 위한 국민교육의 필요성으로부터 비롯되었다. 개인의 노력 여부에 따라, 교육을 받으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사교육의 등장은 아마도 자기만족과 더불어 타인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고자하는 마음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몇 년 째, 사교육은 지나친 정도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최근 보도된 뉴스에 따르면 각 가정의 월 소득 중 평균 20% 정도를 사교육비로 지출하며, 사교육비로 치자면 OECD 국가 중 우리나라가 최고 액수를 지출한다고 한다. 요 근래의 이런 심각한 현상들은 사교육의 메카, 강남을 중심으로 그 파급효과는 어마어마하여 최근에는 심지어 읍면지역의 학생들까지 사교육 열풍에 합류하였다.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만 못하다. 우리는 이 과도한 사교육 현상의 시작과 원인은 무엇이며, 이로 인해 초래된 문제점과 실제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교육사회학적 이론에 입각해 보고자한다. 더불어 사교육의 바람을 잠재울 수 있는 해결방안 제시와 함께 조사를 하며 느낀 조원들의 느낌과 의견을 덧붙여 결론을 지음으로써 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룰 것이다.
Ⅱ. 본 론
● 사교육의 정의와 발생원인
사립학교와 같이 법인이나 개인의 재원에 의하여 유지되고 운영되는 교육으로, 국가에서 정한 필수교육 외에 교육시키는 것으로 과외, 학원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적 특성으로 인해 사교육 조장이라는 결과와 함께 우리나라 사교육은 발전하였으며, 오늘날에는 이것이 공교육의 약화 뿐 아니라 경제적, 정신적, 사회적 무리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 특징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사교육의 원인을 살펴보자.
참고 자료
통계청 http://www.nso.go.kr
경향신문 http://www.khan.co.kr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매일경제 http://www.mk.co.kr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e.go.kr
교육정책정보센터
http://www.edpolicy.net/
한국교육개발원 http://www.kedi.re.kr
EBS http://www.ebs.co.kr
동아일보 교육기획 ‘공룡사교육’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0
이종각, 『교육사회학 총론』,동문사, 1996
한국교육개발원 http://www.ked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