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단위계(SI)
- 최초 등록일
- 2017.04.03
- 최종 저작일
- 2016.04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국제단위계에 대한 짧은 리포트 입니다.
목차
1. 국제단위계의 정의
2. 국제단위계의 종류와 각각의 단위에 대한 기준
3. 국제단위계의 장점과 의의
본문내용
1. 국제단위계란?
1960년 10월 제11차 국제도량총회에서 결정된 것으로 국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길이, 질량, 시간, 전류, 온도, 물질량, 광도 등 물상상태의 양을 결정할 때 공통적으로 적용하여야 할 기준으로써 모든 물리량의 기본적인 단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국제단위계는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1) 7가지의 기본단위
독립된 차원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되는 일곱 개의 명확하게 정의된 단위인 미터(m), 킬로그램(kg), 초(s), 암페어(A), 켈빈(K), 몰(mol), 칸델라(cd)의 7개 단위를 말한다.
2) 유도단위
먼저 7가지의 기본단위로만 표현할 때 너무 숫자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피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유도단위가 있다. 이것들은 각 단위에서 일관성을 갖는데, 여기서 "일관성(coherent)"이라는 표현은 1 외의 어떤 다른 수치적 인자 없이 순전히 SI 단위 끼리만의 곱하기와 나누기로 이루어진 단위의 체계라는 의미이다.
참고 자료
네이처
[네이버 지식백과] 국제단위계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