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단위계 SI unit의 기본 정의와 단위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0.03.27
- 최종 저작일
- 2020.03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국제 단위계 SI unit의 기본 정의와 단위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제1장. SI unit
가. 정의
나. 기본단위 및 정의
1) 미터(m)
2) 킬로그램(kg)
3) 초(s)
4) 암페어(A)
5) 켈빈(K)
6) 몰(mol)
7) 칸델라(cd)
다. 유도단위 종류
1) SI유도단위
2) SI접두어
제2장. 단위 정리
가. 길이
1) 미터법
2) 야드파운드법
3) 척관법
나. 질량
다. 시간
라. 열역학적 온도
마. 몰질량(농도)
참고자료
본문내용
제1장 SI unit
가. 정의
각 국가별로 상이하게 적용하는 단위를 미터법 미터(m) 및 킬로그램(kg)을 기본으로 한 십진법의 국제적인 도량형단위계를 기준으로 국제적으로 통일시킨 체계로서 SI단위라고도 한다. 국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길이, 질량, 시간, 전류, 온도, 물질량, 광도 등 물상상태의 양을 결정할 때 공통적으로 적용하여야 할 기준이다. SI단위는 크게 기본단위와 유도단위로 분류된다. 기본 단위에는 길이에 미터(m), 무게에 킬로그램(kg), 시간에 초(s), 전류에 암페어(A), 온도에 켈빈(K), 물질량에 몰(mol), 광도에 칸델라(cd)의 7가지가 있고 이로부터 유도된 유도단위가 있다. 유도단위는 기본 단위의 곱 또는 나눔으로 만들어진 단위이다. 유도단위의 표현에는 기본단위 외의 다른 인자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SI 단위가 일관성을 갖게 되고, 또한 계산할 때 다른 환산인자 어떤 단위로 표시되는 양을 다른 단위로 나타내기 위하여 곱하거나 나누는 인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유도단위 중에서 21개는 편의상 특별한 명칭과 기호가 주어져 있다.
나. 기본단위 및 정의
1) 미터(m)
길이의 기본단위는 미터(meter)이며, 1 미터는 평면 전자파가 진공 중에서 1/299,792,458초 동안 진행한 거리와 같은 길이이다.
미터(m)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μετρον으로부터 유래하였으며, ‘단위’를 뜻하는 프랑스어 mètre가 그 기원이다. 1790년, 프랑스 정부에서 전 세계적인 단위의 표준을 정할 필요성을 느끼고 미터법을 제정할 당시, 거리의 기준을 지구로 삼았다. 이에 따라 지구 적도에서 북극점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10,000km, 이 거리의 4배인 지구 전체 자오선 길이인 40,000km를 기준으로 하는 미터법이 제정되었다. 전체 자오선 길이가 아닌, 적도에서 북극점까지 거리인 10,000km가 십진법상의 표준으로 된 이유는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 남반구 지역에 관측소를 설치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한국 계량 측정협회 자료실 ‘국제단위계(SI)_해설.ppt’ 자료 참고
고완석 외 4명 공저, 『단위조작』 제2판, 보문당 (1999) p. 11~15
고정삼, 최종옥 공저, 『알기쉬운 식품공학』 유한문화서(2004) p.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