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 국제 단위계(SI)
- 최초 등록일
- 2006.04.08
- 최종 저작일
- 2006.04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소개글
■ 국제 단위계(SI)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국제 단위계 (SI)
S.I란 불어 Le Systeme International d`Units에서 온 약어.
영어로는 International System of Unit
현재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하여 국제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단위계.
"국제 단위계라"는 명칭과 그 약칭 "S.I"는 1960년 제 11차 국제 도량형 총회 (CGPM)에서 채택결정.
1) SI의 배경 및 발달
SI의 시초는 1790년경 프랑스에서 발명된 "미터계"이며, 이미터계에는 1875년 17개국이 미터협약(Meter Convection)에 조인함으로서 공식화.
1881년 과학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든 CGS계
1900년경에는 실용적인 측정이 미터-킬로그램-초(MKS)계에
바탕을 둠.
1935년에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가 전기단위로 ampere ,
coulomb , ohm , volt중 하나를 채택하여 역학의 MKS와 통
합할 것을 추천,뒤에 ampere 가 선정되어 MKSA를 이룸.
1954년 제 10차 CGPM에서 MKSA의 4개의 단위와 온도의
단위 "캘빈도" , 그리고 광도의 단위 "칸델라"의 모두 6개
의 단위에 바탕을 둔 일관성 있는 단위계를 채택
1960년 제11차 CGPM에서 이 단위게에 공식적인 명칭 "국
제 단위계" 와 그 약칭 "S.I"를 모든 언어에서 사용하도록 부
여 하였다.
1967년 온도의 단위가 캘빈(K) 으로 바뀌고,1971년에 7번째
단위인 몰(mole) 이 추가 되어 현재의 SI의 기초가됨.
2) SI의 특징
① 각 속성(또는 물리량)에 대하여 한가지 단위만 사용한다.
② 모든 활동분야에 적용된다. 상호교류나 이해가 쉽다.
③일관성 있는 체계이다.
④ 배우기와 사용하기가 쉽다.
2. 기본단위의 정의
① 길이의 단위(m)
[미터(meter)는 진동에서 빛이 1/299,792,458초 동안 진
행 한 경로의 길이이다] (1983년 제17차 CGPM)
1960년 의 제10회 국제도량형총회에서 "미터의 정의변경"
이 결정되어 오늘날에는 [ 미터는 크립톤86( Kr )원자의
2P105d5 준위간의 전이에 대응하는 복사선(오렌지색 광선)
의 진공중에서 파장(0.60578021㎛)의 1650763.73배와
같은 길이]로써 정의 되었으며 현대과학기술로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와 빛의 속도를 이용하여 훨
씬 정확하게 길이 측정이 가능하여 가능하여 1983년 제
17회 도량형총회에서 [미터는 빛이 진공에서 299,792,458
분의 1초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이다]라고 바꾸어 현재
사용중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