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단위계 SI
- 최초 등록일
- 2010.05.23
- 최종 저작일
- 2010.05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국제단위계SI의 정의
국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길이, 질량, 시간, 전류, 온도, 물질량, 광도 등 물상상태의 양을 결정할 때 공통적으로 적용하여야 할 기준이다. SI단위는 1960년 제11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채택되었으며, 국가측정표준을 정하는 단위의 체계로서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법제화를 통하여 이를 공식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목차
◎ 국제단위계SI의 정의
◎ 국제단위계SI의 탄생배경
◎ 국제단위계SI의 기본단위 7가지
◎ 국제단위계SI 중 역학의 핵심 3가지와 그 측정기준은?
본문내용
◎ 국제단위계SI의 정의
국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길이, 질량, 시간, 전류, 온도, 물질량, 광도 등 물상상태의 양을 결정할 때 공통적으로 적용하여야 할 기준이다. SI단위는 1960년 제11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채택되었으며, 국가측정표준을 정하는 단위의 체계로서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법제화를 통하여 이를 공식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가표준기본법 제10조~제12조 규정에 의거 SI단위를 법정단위로 채택하고 있다. SI단위는 크게 기본단위와 유도단위로 분류된다. 독립된 차원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되는 일곱 개의 명확하게 정의된 단위인 미터(m), 킬로그램(kg), 초(s), 암페어(A), 켈빈(K), 몰(mol), 칸델라(cd)의 7개 단위를 SI 단위를 기본단위로 하였다. 유도단위는 대수관계에 따라 여러 기본단위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단위이다.
SI란 “국제단위계”의 약칭으로 1960년 제 11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채택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