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개발과 활용
- 최초 등록일
- 2017.01.28
- 최종 저작일
- 2016.05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직무현장훈련(OJT)과 집합교육훈련(Off-JT)의 정의와 차이점
2. 기업들의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기업은 기업이 고용한 인력이 기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인적자원의 역량을 높이고 이것을 통하여 기업성과를 향상시켜야 한다. ‘기업의 회생’이라는 측면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인재들의 육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인재들은 기업의 입장에서는 인적자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업은 이 자원들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리기 위하여 지속적인 훈련을 할 필요가 있다. 인적자원의 개발은 개인적인 개발, 그룹적인 개발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훈련에는 직무현장훈련(OJT)과 집합교육훈련(Off-JT)는 두 가지로 나뉜다.
Ⅱ. 본론
1. 직무현장훈련(OJT)과 집합교육훈련(Off-JT)의 정의와 차이점
직무현장훈련(OJT ; On the Job Training)은 쉽게 말해 현장훈련이다.
피훈련자가 실제로 직무를 수행하면서 감독자 혹은 선임자에게서 직무 수행에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훈련방법이다.
직무현장훈련은 직책의 성격이 고도의 기술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경우의 훈련에 적합하여 실무적인 훈련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많은 인적자원을 훈련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NAVER 행정학 사전
NAVER HRD 용어 사전
KDI 한국개발연구원 - 『체계적 현장훈련 지원사업』우수사례 (한국산업인력공단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