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준관, 교육신학,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76)
· 은준관, “현대의 교육신학”, 기독교교육사, (서울:교육목회, 1992)
· 은준관, 『기독교교육 현장론』, (대한기독교출판사, 서울, 1988),
· Paulo Freire, The Pedagoy of The Oppressed, 성찬성 역, 페다고지-민중교육론, (광주:광주, 1986)
· Paulo Freire, The Politics of Education, 김쾌상 역, 실천교육학, (서울:일월서 각, 1986)
· Paulo Freire, Education as Cultural Action, 김쾌상 역, 문화적 행동으로서의 교육, (서울:한길사, 1979)
· Paulo Freire,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채광석 역, 교육과 의식화, (서울:새밭, 1978)
· 황필호, 이데올로기, 해방신학, 의식화 교육, (서울:종로서적, 1985)
· Erich Fromm, The Sane Society, 이용호 역, 건정한 사회, (서울:백조출판사, 1983)
· Erich Fromm, The Revolation of Hope, 최혁순 역, 희망의 혁명, (서울:서음출판사, 1983)
· Fritz Pappenheim, The Allenation of Modern Man, 황문수 역, 현대인의 소외, (서울:문예출판사, 1978)
· Jean-Paul Sartre, Situaition V, 박정자 역, 상황 V, (광주:사계절, 1983)
· Rollo May, Man's Search for Himself, 백상창 역,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서울:문예출판사, 1974)
· 務台理作, 현대의 휴머니즘, 풀빛편집부 역, (서울:풀빛, 1982)
· Frantz Fanon, Les Damnés de la Terre, 구자익 역,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 (서울:언어문화사, 1986)
· Penny Lernoux, Cry of The People - The Struggle for Human Rights in Latin America, 이부영 역, 민중의 외침, (왜관:분도출판사, 1984)
· 고재식, 해방신학의 재조명, (광주:사계절, 1986)
· Gustavo Gutierrez, Theology of Liberation, 편집부 역, 해방신학I, (서울:한밭출판사, 1984)
· Leonardo Boff - Clodovis Boff, Como fazer teologia da liberaçâo, 김수복 역, 해방신학 입문, (서울:한마당, 1987)
· T.G.Sanders, The Paulo Freire Methods, 박동규 역, (서울:제 3일사, 1972)
· 문동환, “파울로 프레이리의 교육이론”, 세계와 선교 21집, (서울:한신세계와 선교사, 1971)
· 최기준, “파울로 프레이리의 의식화 교육론 비판 연구”, 연세대학 석사논문, 1976
· 이영조, “파울로 프레이리와 레티 러셀 비교 연구 및 비판”, 연세대학 석사논문, 1974
· 노정선, 통일 신학을 향하여, (서울:한울, 1988)
· Reinhold Niebuhr, Faith and History, 편집부 역, 신앙과 역사, (서울:종로서적, 1983)
· Reinhold Niebuhr,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이병섭 역, (서울:현대사상사, 1972)
· 강희천, 『기독교교육사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1),
· John H. Westerhoff III, “Will Our Children Have Fa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