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 (1992). “축산경영의 투자분석, 농업경영자료 85-2”. 농가부채구조분석 연구보고서 97-6」. 농협중앙회.
· 도쿄도청. (2002). 「도시백서」. 도쿄도부.
· 문은배. (2010). 「공공디자인 색채 개발과 활용」. 대한전문건설협회도장공사업협의회. 통권23호.
· 박도진·박도현. (1999). 「經濟成長이 貿易構造와 交易條件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창원전문대학 論文集 7('99.9).
· 강상욱. (2001). 「우리나라 NGO의 성장에 관한 연구: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학위논문.
· 권경환. (2004). 「지방정부 재정지출의 정향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권오철. (1996).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간 갈등해소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김광구. (2009. 6). “문제해결기제로서의 로컬거버넌스의 과제”.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국정관리연구」. 4(1).
· 김도희. (2004). 「NIMBY와 PIMFY 시설입지 정책의 갈등구조 비교 분석」. 한국정책학회.
· 김두환. (2006). 「정부-주민간 공공정책 갈등해소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서용. (2004).「환경갈등의 문화적 분석」. 고려대학교 행정학 박사 학위논문.
· 김순은. (1999).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과의 관계분석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3(2).
· 김영미. (2009). “평택 칠원 마을이 최우수 새마을이 된 사연”.
· 한국역사연구회.「역사와 현실」. 74.
· 김영기. (1998). “지방정부내의 의결기관-집행기관간 갈등에 관한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0(2).
· 김영철. (1999). “농가신용구조의 변화와 농업금융정책의 기본방향농가부채의 분석과 정책과제”. 농업금융론.「농정연구포럼」. 건국대학교 출판부.
· 김영평. (1991). 「불확실성과 정책의 정당성」.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 김용웅. (1999). 「지방자치시대의 분쟁사례집1, 2」. 국토연구원.
· 김용웅·차미숙. (1996). 「지역분쟁 실태와 해결을 위한 접근방안」,
· 국토개발연구원.
· 김윤상. (2010). “공유지의 비극과 사유화의 비극. 국가정책연구”. 「토지+자유연구」. 3호
· 김은미. (2001). 「기업합병 후 구성원들의 인식변화와 조직유효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이정. (2006). 「부안군 위도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부안군청.
· 김일중·이명헌. (1996. 11). 「지역 간 환경갈등의 국내사례 및 해결 방안」. 한국환경경제학회 정책토론회.
· 김재형. (1996). 「지역이기주의의 경제적 이해와 효율적 갈등조정방안」. 한국개발연구원.
· 김준한. (1996). “행정부와 대체적 분쟁해결제도”. 「한국 행정학보」 30(4): 37-53.
· 김진복. (1994).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간의 관계정립”. 「지방자치 연구」. 6(1).
· 김필두. (1996).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갈등해소방안」. 한국 지방행정연구원.
· 김학열. (2006). 「팔당상수원 상ㆍ하류 유역관리지역 간의 문제와 유역관리지역의 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 문제」. 환경정의시민연대 생명의 물 살리기 운동본부.
· 김회창. (2007). 「인천지역 지방정치엘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흥식. (1993). 「지역이기주의 극복을 위한 정책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나민식. (2005). 「지방자치시대 지역 갈등관리에 관한 전략」.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나성린·김용건. (1996. 11). 「환경 분쟁과 경제적 접근 : 외국사례」. 한국환경경제학회 정책토론회.
· 농림부. (1978). 『새마을로 가는 길 -박대통령과 농어촌근대화』
· 농림부. (1997). 「농가부채의 분석과 정책과제 정책자료 시리즈 1. 9」. 농정연구포럼
· 농림부. (1999). 「1998년 농가경제통계」
· 농촌진흥청. (1992). “축산경영의 투자분석, 농업경영자료 85-2”. 농가부채구조분석 연구보고서 97-6」. 농협중앙회.
· 도쿄도청. (2002). 「도시백서」. 도쿄도부.
· 문은배. (2010). 「공공디자인 색채 개발과 활용」. 대한전문건설협회도장공사업협의회. 통권23호.
· 박도진·박도현. (1999). 「經濟成長이 貿易構造와 交易條件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창원전문대학 論文集 7('99.9).
· 박재묵. (1995). 「지역반핵운동과 주민참여 - 4개 지역 원자력시설 반대운동의 비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박천오․서우선. (2004). “한국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간 갈등요인과 개선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행정학보」. 38(4): 107-124.
· 박호숙. (2000).「지방자치단체의 갈등관리」. 행정자치부 : 국가전문 행정연수원. 서울: 다산출판사.
· 박희정. (2002). 「비선호 시설의 입지와 정책 갈등」. 한국 장례문화학회.
· 백기복. (2000). 「조직행동연구 : 조직과 인간의 새로운 만남」 .
· 서울: 法文社 .
· 삼성경제연구원. (1996).「혐오시설 입지갈등과 합리적인 해소방안」. 쓰레기처리시설을 중심으로. 국토개발포럼. 7.
· 서우선. (2003).「한국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간의 갈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서종혁·박성재. (1986a). “농가 재무구조와 부채상환능력 분석”. 「농촌경제」. 9(1).
· 서종혁·박성재. (1986b). “농가의 자금운용과 부채”. 「농촌경제」. 9(4).
· 선우영준. (1993). 「우리나라 님비현상의 심화요인분석과 해소방안」.연례학술대회 발표논문. 한국정책학회.
· 설광언. (1988). 농업자금의 이자율 수준에 관한 연구. 「농촌경제」. 11(3).
· 손경석. (2004).「한국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과의 관계와 갈등해소방법」.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상욱. (2005). 「치안환경 변화에 따른 민간경비와 지방자치단체의 상호 협력방안」.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신기엽. (1988). “농업자본수익률에 관한 소고”, 「농협조사월보」 6월호.
· 신유근. (1997). 「인간중심의 경영」. 1판. 서울: 다산출판사.
· 신택현. (1990). 「인사관리제도 및 조직구조가 개인간 갈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 만음사.
· 안득기. (2005). 「시민사회단체(NGO)에 대한 정치주체들의 인식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안종운. (1996). “환경오염피해분쟁 현황과 대책”, 「환경백서」.국립환경연구원.
· 안영훈. (2007). 「지방의회 운영체제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지방행정연구원.
· 양창삼. (1997). 「인간관계와 갈등관리」. 서울: 경문사.
· 염돈재. (2002). 「정보왜곡의 발생원인: 1997년 외환위기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학박사학위논문.
· 오야마죠 사무소. (2008). 「오이타현 지사 히라마쯔 모리하꼬와 오야마죠」. 오야마죠 사무소.
· 유병서. (1998). “농가부채의 구조변화분석”. 「농업정책연구」. 25(1).
· 유종민. (2008).「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영. (1997). 「공공도서관 조직구성원들의 갈등수준에 관한 조사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윤석원. (2009). 「농산물 시장개방의 정치경제론」. 서울: 한울.
· 이광석. (2006). “갈등의 역동성과 NGO: 영국의 FMD를 중심으로”. 「NGO연구」. 제4권 제2호(2006): 115~142
· 이건열. (1990). “농가부채의 농업금융론적 접근”. 「농업정책연구」. 제 17권 제1호.
· 이병호. (2010).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평생교육정책 과정 추이
· 분석」.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성배. (1990). 「한국 주민운동이 행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박사학위 논문.
· 이원욱. (2011). 「연구조사방법의 이해와 적용: 질적 연구와 사례연 구방법」. 조사연구방법론. 서울: 형설 출판사.
· 이원욱. (2008). 연구조사방법론. 서울: 형설 출판사.
· 이재규. (1998). 「조직 갈등 관리론」. 서울: 전영사.
· 이호준. (2001). “집단갈등이 정책결정과 집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상계동 쓰레기 소각장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방 행정공제회.「도시문제」. 36(397).
· 이해영. (2005). 「조사방법의 이해」. 서울 : 대영문화사.
· 이혜진. (2006).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간의 발전적 관계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 연구원.
· 임구원. (1995). “지역개발사업에 따른 공공시설의 설치분쟁 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지역사회개발논총」.
· 장학기. (2009). 「지방자치단체 관련 갈등·분쟁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전재경. (1996). 「환경분쟁조정 제도 개선방안」. 한국법제연구원.
· 정근석. (1991). 「주민운동의 구조와 역학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전남지역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부매. (2005). 「농업생산양식과 농촌사회구성의 재편 : 서울근교 양평 지역을 사례로」.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채융. (1999).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상호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영석. (2003). 「갈등 조정기제로서 바람직한 지역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주민기피시설의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봉순. (2002). “집단내 갈등의 매개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 인사 조직학회. 「인사조직 연구」. 제10권.
· 조해균. (1988). 「인사관리론(갈등의 관리를 중심으로)」. 서울: 형설출판사.
· 주재복, 박관규. (2011). 「정부갈등과 해결방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지충남. (2006).「지방정치와 엘리트, 시민사회단체, 주민참여 신고」. 서울: 한국학술정보.
· 진용황. (2004). 「서울시자치구 할거주의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서울시립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천대윤. (2005). 「갈등 관리 전략론; 갈등관리와 협상 전략론」.
· 서울: 선학사
· 최재실. (2006). 「비선호시설 입지선정 갈등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 장사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해진. (2004). 「갈등의 이해와 관리」. 서울: 두남.
· 하세헌. (2007). “지방분권 실현과 지방정당의 육성”. 「한국지방자치연구」. 제9권 제 2권 통권 19호.
· 하혜수. (2003). “지방정부간 분쟁조정과정에 관한 협상론적 분석”
· 한국행정학회. 「국내학술기사」
· 하혜영. (2007a).“공공갈등해결의 영향요인 분석”.「한국행정학보」. 한국 행정 학회.
· 하혜영. (2007b). “정부의 공공갈등 관리방식에 대한 실증분석”. 「행정 논총」.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 단국대학교 분쟁 해결연구소.(2007). 「공공갈등의 연구방법론에 대한소고」. 분쟁해결연구. 제 5권 제1호 통권8호: 봄/여름.
· 서울행정학회. (2009). “공공갈등연구의 경향과 과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0권 제2호 8월.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5). 「농가자산 및 차입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농촌진흥원.
· 한국법제연구원(1996).「환경문제와 관련된 분쟁해소방안」. 한국법제연구원.
· 한국토지공사(1996). “기피시설입지의 갈등해소에 관한 연구”, 「토지연구」, 9.10월호.
· 한석지. (2005). 「한국의 지방정치와 지역개발정책에 관한 연구 : 제주도개발특별법과 제주국제자유도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 허만형. (2001). 「통계분석론」. 서울: 법문사.
· 허원기. (2007). 「地方分權型 敎育自治制度의 發展 方案」.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홍종득. (2007). 「로컬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 광명시 고속철도역 활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홍종선. (2000). 「조사방법과 통계자료분석」. 서울 : 박영사.
· 황의식. (1998). “농업금융의 당면과제와 정책방향”, 「농정연구포럼」. 보고서, 세미나, 기타 자료
· 강문규. (2008).「한일시민사회포럼 2008」. 동경 법정대학. 아시아 시민사회운동연구원.
· 김미정외. (2009).「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 일본 정책 연수 사후 보고」. 서울; 행정안전부. 140
· 김선환. (2009). 광남일보. 4. 13
· 김선희. (2008). 「일본의 시민참가형 환경도시 : 무사시노」. 국토연구원.
· 이동필외. (2004). 「도농간 소득및 발전 격차 실태와 원인분석」.한국농촌 경제원
· 이병국. (2005.9.1). 「국민운동단체 지원현황」. 분권과 자치를 위한 수도권네트워크 / 보조금 제도개선 네트워크
· 이태문외. (2009).「해외사례조사결과보고서」. 순천시
· 최용환. (2006). 「일본의 무사시노 시 행정평가」. 행정평가원.
· http://www.donga.com/fbin/new_donga?d=9706&f=nd97060155.html. (2010.3. 17 검색)
· 서울특별시 청소사업본부. (1992)「노원지구 쓰레기 소각시설 건설사업타당서 조사서」
· AL-Meshekeh, H.S., Langford, D.A. (1999), "Conflict management and construction project effectiven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framework", Journal of Construction Procurement, Vol. 5 No.1, pp.58-75.
· Al-Sedairy, S.T. (1994), "Management of conflict: public-sector construction in Saudi Arabia",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Vol. 12 No.3, pp.143-51.
· Arnstein, S. (1969), "The Important Role of Trade Associations in Distributive Conflict Resolution," Journal of Marketing, 32(April). 21-8.
· Barnes, M. (1986), “Information discussion: avoidance of contractual disputes –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Joint Meeting with Royal Institution of Chartered Surveyors, Proceedings, Part I, 80, pp. 301-303,
· Bennis, W. and P. W. Bierderman. (1997). “Organizing Genius : The Secret of Creative Collaboration”. Reading, Mass: Perseus Publishing.
· Bochner, A. P., D. L. Krueger, and T. L. Chmielewski. 1982. “Interpersonal perceptions and marital adjustments”. Journal of Communication 32: 135-147.
· Borisoff, D., and L. Merrill. “The Power to Communicate : Gender Differences and Barriers”. 3rd ed. Prospect Heights, IL: Waveland, 1998.
· Borisoff, D., and D. A. Victor. 1997. “Conflict management: A communication skills approach”, 2nd ed. Boston: Allyn and Bacon. Boulding, K. E. USA.
· Boulding, K. E. 1989. “Three faces of power”. Newbury Park: Sage.
· Braiker, H. B., and H. H. Kelley. 1979. Conflict in the development of close relationships. In Social exchange in developing relationships, edited by R. L. Burgess and T. L. Huston. New York: Academic Press.
· Brickman, James R. 1974, "A Cross-Channel Comparison of Supplier-Retailer Relations and Conflict," Journal of Retailing, 67(Winter), 3-18.
· Brown, L. M., and C. Gilligan. 1992. “Meeting at the crossroads: Women's psychology and girls' development”.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 Buehler, C., A. Krishnakumar, C. Anthony, S. Tittsworth, and G. Stone. 1994. “Hostile interparental conflict and youth maladjustment”. Family Relations 43: 409-417.
· Capek, S. M. (1993). “The 'Environmental Justice' Frame : A Conceptual Discussion and an Application”. Social Problems, 40(1): 5-24.
· Carter, Steven W.(1987), "Factors Affecting Industrial Buyers' Negotiation Behavior and Outcomes with Confli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1(February), 39-52.
· Carter, L. J. (1987). “Nuclear Imperative and Public Trust: Dealing with Radioactive Waste”. Washington, D. C. : Resources for the Future.
· Comstock, J. 1994. “Parent-adolescent conflict: A developmental approach”. Western Journal of Communication 58: 263-282.
· Comstock, J., and Strzyzewski. 1990. “Interpersonal interaction on television : Family conflict and jealousy on prime time”.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34: 263-282.
· Coser, L. A. 1967. Continuity in the Study of Social Conflict . New York: The Free Press, p. 96
· Crohan, S. E. 1992. “Marital happiness and spousal consensus on beliefs about marital conflict: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9: 89-102.
· Deutsch, M. 1994, "Constructive conflict resolution: principles, training and research", Journal of Social Issues, Vol. 50 No.1, pp.13-32.
· Donohue, W. A., and R. Kolt. 1992. “Managing interpersonal conflict”. Newbury Park, Calif.: Sage Publications.
· Duffy, C.K., Shaw, J.D., Stark, E.M. 2000,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conflicted interdependent groups: when and how does self-esteem make a differe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3 No.4, pp.772-82.
· Dunn, C. W., and C. M. Tucker. 1993. “Black children's adaptive functioning and maladaptive behavior associated with quality of family support”.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21: 79-87.
· Cadotte Ernest R. and Louis W. Stern (1979), "A Process Model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in Marketing Channels," Research in Marketing, Vol. 2, p. 134.
· El-Sheikh, M. 1994. “Children's emotion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inter-adult angry behavior: The role of history of inter-parental hostilit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2: 661-679.
·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6, 695-706.
· Fellows, R.F., Hancock, M.R., Seymour, D. (1994), "Conflict resulting from cultural differentiation", in Fenn, P. (Eds), Construction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CIB Proceeding TG15, UMIST, pp.259-67.
· Fisher, R. and S. Brown. 1988. “Getting together: Building relationships as we negotiate”. London: Penguin.
· Himes, Josep h 1980.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Athens”. GA : University of Georgia Press.
· Jung Ho-Won. (2000). "Peace and Conflict Studies: An Introduction", Ashgate Publishing Limited, CA., USA.
· Lan, Z. (1997), “A Conflict Resolution Approach to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7(1).
· Lippitt, Samuel B. (1985), "Effect of the Number of Scale Points on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 12.
· Pondy, L. R. (1967). “Organizational Conflict: Concepts and Model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2(3).
· Pondy, Louis R.(1967), "Organizational Conflict: Concepts andModel,"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2 (September. 1967), 296-320.
· Rahim M.A., Magner, N. R. (1995).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tyles of Handing Interpersonal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1), 122-127
· Rice, Thomas H . (1983). "The Imp act of Changing Medicare Reimbursement Rates on Physician-Induced Demand ". Medical Care 21.
· Rosenblom, David (1983).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and the Separation of Power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3(3): 219~227.
· Schmidt, Stuart k and Thomas A. Kochan(1972), "Conflict: Toward Conceptual Clarit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7(September), 359-70.
· Thomas, Kenneth W.(1976),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Marvin D. Dunnette, ed., Chicago: RandMcNally, 889-935.
· Duncan W. Jack, “Orgaηizational Behavior”, 2nd ed.(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81). p. 254.
· Weisberg, B. (1993). “One City's Approach to NIMBY: How New York City Developed a Fair Share Siting Process”. J. A. P. A., 59(1): 93-97.
· White, Paul E.(1974), "Intra- and Inter-Organizational Studies:Do They Require Separate Conceptualizations?," Administration and Society, 6(Nay), 102-52.
· 武蔵野市.(平成20).「廃棄物の抑制・再利用と適E処蹄」, 統計:平成1 9年度実績.
· 三船康道十.( 2002). “まちづくりコラポレーション”, 「まちづくりキーワード 事典」, 東京 : 株式会社学芸出版社;. 8月10日 第1版 第l刷 発行.
· 青木秀.(平成元年).「種をまき夢を追う矢幡治美問書」,松永年生 , 西日本新聞社. 五月二十日発行.
· 新武蔵野(平成 21年). 「クリーン也ンダー施設」. まちづくりア検討委員会日議, 最終報告書, 6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