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회계란
- 최초 등록일
- 2015.11.06
- 최종 저작일
- 2013.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분식회계의 정의
(2) 분식회계 발생이유
(3) 분식회계 예방방법
(4) 분식회계의 유형
[1] 재고자산 부풀리기
[2] 매출액 부풀리기
[3] 이익 늘려 잡기
[4] 비용 줄어잡기
[5] 부채 숨기기
[6] 이익 줄이기
(5) 분식회계 사례
3. 결론
4.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1. 서론
이 리포트의 목적은 분식회계의 정의, 발생하게 된 발단이나 그에 따른 올바르지 못한 사례들을 알아보려고 쓰는 것이다. 흔히 대기업이나 우리나라에 영향력이 있는 기업들에게 의해 자주 발생되고 있는 분식회계 사건들이 어떤 과정으로 사건을 저지르는지 무슨 이유로 잘못된 행동을 벌이는지 더 자세히 알아볼 계기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2. 본론
(1) 분식회계의 정의
분식회계(粉飾會計) 란 window dressing settlement 또는 분식결산(粉飾決算)이라고도 한다. 기업이 재정 상태나 경영 실적을 실제보다 좋게 보이게 할 목적으로 부당한 방법으로 자산이나 이익을 부풀려 계산하는 회계이다. 기업이 자산이나 이익을 실제보다 부풀려 재무제표상의 수치를 고의로 왜곡시키는 것이다. 이는 주주와 채권자들의 판단을 왜곡시킴으로써 그들에게 손해를 끼치기 때문에 법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공인회계사의 감사보고서를 통해서도 분식회계 사실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직 창고에 쌓여 있는 재고의 가치를 장부에 과대 계상하는 수법, 팔지도 않은 물품의 매출전표를 끊어 매출채권을 부풀리는 수법, 매출채권의 대손충당금을 고의로 적게 잡아 이익을 부풀리는 수법 등이 주로 이용된다. 이와 반대로 세금 부담이나 근로자에 대한 임금 인상을 피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이익을 적게 계상하는 경우를 역 분식회계(逆 粉飾會計)라고 한다.
(2) 분식회계 발생이유
불황기에 특히 이러한 분식회계 수법이 자주 이용되는데, 주주·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것은 물론, 탈세와도 관련이 있어 상법 등 관련 법규에서도 금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국제 통화기금) 사태 이후 기업들의 영업실적이 약화되면서 분식회계가 급증하였다. 예로는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의 41조원 분식회계 사실이 드러나 재무제표를 믿고 자금을 대출해준 금융기관과 투자자, 일반 국민들이 엄청난 손해를 본 일이 있으며, 동아건설산업(주) 역시 이 문제로 사회를 떠들썩하게 하였다.
참고 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208357&categoryId=200000196
http://blog.daum.net/kfs-jjang/14539955
http://news1.kr/articles/1039080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