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선택 과목」, 2007개정 교육과정, 2007.
· 김재춘, 양길석 외,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제4판, 교육과학사, 2010.
·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1999.
· 김대행 외,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김도남,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박이정, 2003
· 김상욱, 「소설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6
· 김중신, 「소설교육방법론 연구」, 서울대출판사, 1995
· 김중신, 「한국 문학교육론의 방법과 실천」, 한국문화사, 2003
· 노명완 외, 「창조적 지식기반사회와 국어과 교육」, 박이정, 2003
·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문학교육의 인식과 실천」, 국학자료원, 2000
·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문학과 문학교육」, 푸른사상, 2001
· 박인기 외,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삼지원, 2003
· 선주원, 「소설교육의 원리와 방법」, 새미, 2003
· 설성경, 「한국고전소설의 본질」, 국학연구원, 1991
· 신성휘, 「게임이론 길라잡이」, 전영사, 2003
· 왕규호 ․ 조인구, 「게임이론, 전영사」, 2004
· 우한용 외, 「문학교육과정론」, 1997
· 유광재, 「전공국어 교과교육론」, 도서출판 희소, 2004
· 신현재, 이재승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서광학술자료사, 1994.
· 선주원,「소설 교육의 원리와 방법」, 새미, 2003.
· 고은옥, 「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교육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1999
· 고미연, 「중학교 교육의 방향 및 실제에 관한 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03.
· 권복연, 「문학 교육 과정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고찰」, 연세대 석사논문, 2003
· 김정희, 「학습자 중심 소설 교육 방법」, 연세대 석사논문, 2002
· 김진희,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과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3
· 김해영, 「제 6차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구성체제 분석」,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7
· 류정렬, 「문학교육의 이론과 현장론적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999
· 박경일, 「영상매체 시대의 소설교육 방향,」 아주대 석사학위논문, 2001.
· 박수경, 「현대시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아주대 석사학위논문, 2000
· 박인기 외,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삼지원
· 박희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영역연구」,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1999
· 이대규, 「문학교육과 수용론」, 이회문화사, 1998.
· 이미자, 「소설의 장르적 특성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2007.
· 강진우, 「희곡교육 정전 요소의 재개념화 -탈권위주의 시대의 극 읽기를 위하여-」,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
· 강진우, 「희곡교육에서의 교사 역할 연구-교육연극적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42, 2008.
· 박경하, 「학습자 중심 희곡 교육 방안」, 인제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윤금선, 「희곡연극, 교육연극의 연구 동향」, 『국어교육』119, 2006.
· 임천택,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 최금란, 「국어교과에서 ICT 활용교육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방안 연구」, 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장금희, 「희곡 지도 방법 연구-기본 요소를 중심으로-」, 배달말교육학회, 2005.
· 한귀은, 「희곡의 다시 읽기, 쓰기 교육방안-오영진의 <맹진사댁 경사>를 중심으로-」, 『배달말교육』29, 2008.
· 황민경, 「반응 중심 문학교육 방법을 활용한 희곡 지도 방안 연구」,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황정현, 「심화선택과목 문학의 교육과정 개정 방향, 희곡문학 장르의 교육과정 개정 방안」, 한국문학교육학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