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과제10.다양한 교수전략(캠퍼스)

"과제10.다양한 교수전략(캠퍼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5.07.30 최종저작일 2015.06
8P 미리보기
과제10.다양한 교수전략(캠퍼스)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3. 자료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교수전략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특정 교수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하기 위하여 어떤 교수 내용과 과정을 사용할 것 인가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말한다. 이러한 교수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세부 활동이나 구체적인 기법들을 교수기술이라 한다. 교수전략의 결정은 교수·학습에 대한 철학(발견학습, 수용학습), 학습 집단의 단위(개별, 소집단, 대집단), 통제의 중심(교사주도, 학생주도, 혼합), 그리고 환경(교실환경, 시설)과 같은 큰 규모의 교수변인들과 관계된다. 이에 비해 교수전술의 결정은 방법(강의, 개인지도, 토론, 자습, 실험실 등), 매체(인쇄물, 비디오, 컴퓨터 이용), 그리고 특정 교수활동(시연, 규칙제시, 연습 제공, 피드백 제공) 등과 관련된다(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중략>

    그러나 이러한 교사의 교수지식에 대한 이해는 저절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다. 선행연구(고문수·이재용, 2003)에서 교사의 교수지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교사의 교수지식은 교사 시절의 교수지식에 대한 교육적 경험, 그리고 발전하고자 하는 자기성장에 대한 욕구 등이 역동적으로 작용하여 수업상황에 이용되어져야 한다. 교사의 교수지식에 대한 전반적인 배경은 교사로 하여금 수업활동의 목적과 확신을 자극하고, 수업에 대한 계획, 이해, 실천을 가져오는 밑거름이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 그리고 교수활동에서 다양한 교수지식에 대한 이해는 활동적인 교수를 지향하는 교사들과 교수 활동의 측면을 발달시키는데 통찰력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은 교과내용지식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교사들이 이러한 지식을 활용하여 교과내용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의미의 제공과 “교과내용에서 어떤 교수전략을 어떻게 사용하느냐?”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제공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하다.

    참고자료

    · 곽은창 (1998). 고장난 학교체육. 학교체육학회보, 72, 9-14.
    · 고문수·이재용 (2003).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교수전략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2(5), 203-212
    · 윤창호·조순묵 (1998).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과제제시 형태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5(2), 21-30.
    · 정한철 (1999).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수업지식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교육 대학원.
    · 천승현·김승재 (2015).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학습 무동기 예방을 위한 교수전략의 효과검증. 한 국스포츠심리학회지, 26(1), 39-60
    ·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 Chatzisarntis, N. L. D., & Hagger, M. S. (2009). Effects of an interven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on self reporte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Psychology of Health, 24, 29-48.
    · Cheon, S. H., & Reeve, J. (2013). Do the benefits from autonomy supportive teacher training program endure?: A one year follow up investigation. Psychology of Sport Exercise, 14, 508-518.
    · Cheon, S. H., Reeve, J., & Moon, I. S. (2012). Experimentally based, longitudinally designed teacher focused intervention to help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e more autonomy supportive toward their students. Journal of Sport Exercise Psychology, 34, 365-396.
    · Graser, B.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Chicago: Aldine.
    · Housner, L. D., & Griffey, K. C. (1985). Teacher cognition: differences in planning and interactive decision-making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Sport, 56, 45-53.
    · Merriam, S.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ydt application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 Bass.
    · Ntoumanis, N., & Standage, M. (2009).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 self 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Theory and Research in Education, 7, 194-202.
    · Pangrazi, R. P. (2000). Dynamic physic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llyn & Bacon.
    · Rink, J. (1993). Teaching physical education for learning (2nd ed.). St Louis: Times Mirror
    · Reeve, J., & Cheon, S. H., (2014). An intervention based program of research on teahcers motivating style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18, 293-339.
    · Wallhead, T. L., Garn, A. C., Vidoni, E. D., & Youngberg, C. (2013). Game play participation of motivated students during sport education.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32, 149-165.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