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전문직이나 특정한 분야의 전문가에 대한 탐구는 오래전부터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형태의 연구는 인지심리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어 전문가의 특성, 능력 및 기능 등이 조사되기 시작했다. 전문성 연구는 de Groot(1965)의 체스 연구를 시작으로, 물리, 의학, 타이핑, 건축, 법학, 컴퓨터, 스포츠 등 전문가의 지식, 사고과정, 행동양식들이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흐름은 교육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Berliner(1988)의 주축으로 교사 전문성 연구의 틀과 방향이 소개되었다. 교사의 발달단계를 신참교사, 경력교사, 능력교사, 우수교사 및 전문교사로 구분하여 각 단계의 교사가 가지는 특징을 열거하였다(유정애, 2000).이는 수업능력과 직결되어 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은 능가하지 못한다는 말은 포괄적으로 보면 교사의 전문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체육교육은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의 조화로운 발달을 통한 전인의 완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부분의 체육전문가들은 이러한 목적에 동의하면서도 한편에서는 현장에서의 실효성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의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겠지만 체육교사의 전문성 또한 매우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교사의 전문성이란 교사로서 자신이 맡은 직무를 교육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실제적 능력을 말한다(최의창, 2003).
<중략>
서론에서는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의 수준여하에 따른 교수법 및 수업의 전달 효과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알아보았다면 본론에서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의 목적, 필요성과 전문성의 조건 및 요소 그리고 교사가 되기 직전 교사 준비생과 현직 교사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교육의 대해 알아보면서 체육교사전담제 필요성 및 체육교사 전문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 강신복 (2001).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지식 분석연구. 한국교과교육학회지, 4(2), 150-169.
· 송충섭 (1996).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전담사와 일반교사의 비교분석. 석사학위논 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광주.
· 안양옥 (1995). 체육교과내용지식의 주준과 수업지식의 관련성.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 양광무 (2001). 초등학교 체육교과 전담교사제 운영 실태. 석사학위논문. 학국교원대학교 교육대 학원, 청주.
· 오덕균 (2001).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용인.
· 유정애 (2000). 교사의 전문성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2), 41-59.
· 이재용 (2001). 교과 전문성과 초등체육 전담교사 경험이 가지는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2), 65-83.
· 정찬익 외 6인 (1990). 초등학교 예체능 교과전담제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논문집, 23, 321-376.
· 최의창 (2003). 체육교육탐구. 태근문화사.
· 허정훈·박동수 (2004). 체육교사의 전문성과 아동의 교사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지, 11(1), 67-77.
· Berliner, D. C. (1988). Implications of studies of expertise in pedagogy for teacher education and evaluation. New directions for teacher for teacher assesment: 1988 ETS Invitational Conference. Princeton, NJ: ETS.
· De Groot, A. (1965). Thought and choice inchess. The Hague, Netherlands: Mouton.
· De Marco, G. M., Jr. (1998). Profiles in expertise; An analysi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the yea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 Ericsson, K. A. (1996). The road to excellence: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in the arts and sciences, sports, and gam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Ericsson, K. A. & Charness, N. (1994). Expert performance: Its structure and acquisition. American Psychologist, 49(8), 725-747.
· Ericsson, K. A. Krampe, R. Th., & Tesch-Romer, C. (1993).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Psychological Review, 100(3), 363-406.
· Fincher, M. D. (1996). Major league hitting instruction: An expert a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 Griffey, D., & Housner, L. (1991).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planning decisions, interactions, student engagement, and instructional climat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6, 45-53.
· Manross, D., & Templeton, C. H. (1997). Expertise i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68(3), 29-35.
· Schempp, P. G., Manross, D., Tan, S., & Fincher, M. (1998). Subject Expertise and Teachers' Knowledge.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 342-356.
· Simon, H., & Chase, W. (1973). Skill in chess. American Scientist, 61, 394-403.
· Starkes, J. L., Deakin, J. M., Allard, F., Hodges, N. J., & Hayes, A. (1996). The road to excellence: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in the arts and sciences, sports, and gam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