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高麗史 卷72, 輿服1 冠服公服.
· 高麗史 券74 選擧志 2 恩例
· 高麗史 卷78, 食貨1 田制田柴科穆宗元年三月..
· 高麗史 卷78, 食貨1 田制田柴科太祖23年.
· 高麗史 卷78, 食貨1 田制田柴科文宗30年
· 高麗史 卷94, 列傳諸臣崔士威
· 高麗史節要 卷3, 顯宗13年4月. 南唐書 卷18, 浮屠契丹高麗列傳15 高麗; 十國春秋 卷28, 南唐14 列傳 章僚.
· 曹龜鑑 卷1, 吏職名目解. 2. 저서
· 김당택, 고려 양반국가의 성립과 전개, 전남대학교출판부, 2010년
· 김용선, 고려 금석문 연구, 일조각, 2004년
· 김인호외 2명, 미래를여는 한국의 역사, 웅진지식하우스, 2011년
· 마르크 블로크, 『봉건사회』Ⅱ, 한정숙 옮김, 한길사, 1986, 11쪽
· 박용운·이정신 외 19인, 고려시대 사람들 이야기1, 도서출판 신서원, 2001
· 박용운, 高麗社會와 門閥貴族, 景人文化會, 2003
·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년
· 박종기, 고려의 부곡인 경계인으로 살다, 푸른역사, 2012년
·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한국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역사비평사, 2002년
· 허흥식, 고려의 과거제도, 일조각, 2005년
· 김용선, 과거와 음서: 고려 귀족사회의 두 가지 등용문, 한국사 시민강좌 제 46집, 2010
· 김용선 고려사회의 기본성격, 한국사 시민 강좌 제 40집, 2007
· 김용선, 최충崔의 활약과 가문의 번성, 한국사시민강좌 제 2호 제 39집, 2006
· 김용선, 高麗 功蔭田柴의 지급 대상과 그 時期 , 진단학보 Vol.59, 1985
· 김윤정, 고려전기 집권체제의 정비와 官服制의 확립, 한국중세사연구 제 28호, 2010
· 김판석,윤주희 , 고려와 조선왕조의 관리등용제도 : 과거제도의 재해석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1, 2000
· 김의규, 高麗社會의 貴族制說과 官僚制論에 대한 檢討 , 同大論叢 Vol.15, 1985
· 김의규, 高麗官人社會의 性格에 對한 試考 , 歷史學報 Vol.58, 1973
· 박경자, 「고려시대 향리연구」,국학 자료원, 2001년
· 박용운, 고려전기 귀족관료들의 경제생활과 축재, 한국사시민강좌 22, 1998
· 박창희, 高麗時代 官僚制에 대한 고찰, 역사학보 제 58집, 1973
· 백남혁, 高麗 貴族制說의 檢討와 實狀 , 한성사학 Vol.17, 2003
· 유승원,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아야 할 것인가, 역사비평 36, 1997
· 윤한택, 고려전기 양반공음전시와 등과전 , 京畿 史學 Vol.2 , 1998
· 이남희, 고려시대의 과거제와 공공성(公共性), 한국동양정치사 제 12권 제 2호, 2013
· 이상국, 「高麗 職役田 硏究」, 2004
· 이상국, 「고려초기 役分田의 분급형태」, 수선사학회, 2004
· 이인재, 20세기 후반 고려 전시과 연구의 정초 : 《高麗土地制度史硏究》를 통해본 강진철의 연구 성과과 의의, 한국사연구, 2009
· 장동익, 고려왕조의 정치적 성격에 대한 하나의 所見, 한국중세사 연구 통권 제 11호, 2001
· 鄭吉子, 高麗貴族의 組立式石棺과 그 線刻畵 硏究 , 歷史學報, Vol.108, 1985
· 채희숙 고려초 유학자출신 관료의 정치적 동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 황선영, 고려 시정전시과의 재검토 , 역사와경계 10, 1986
· 洪承基, 高麗貴族制社會論 是非論爭에 드러난 역사인식론적 문제 . 진단학보 Vol.91. 2001
· 홍승기, 高麗初期의 祿邑과 勳田 , 사총 Vol.21, 1977
· 이정훈, [서평] 고려 관료제도에 대한 실증적·객관적인 연구 矢木毅, 高麗官僚制度硏究 ,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8 , 한국중세사연구 Vol.27, 2009 1) 박창희(朴昌熙), 「高麗時代 ‘官僚制’ 에 대한 考察」歷史學報58,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