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근현대사 정리(청나라 까지)
- 최초 등록일
- 2021.07.09
- 최종 저작일
- 2014.03
- 17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1. 중국사의 주요 흐름
2. 연습문제
본문내용
신석기시대의 황화문명
1. 신석기문명의 다원성
중국 신석기 문명의 서방전래설 vs 중국 자생설 → 전 중국에 걸쳐 각 지역 마다 신석기 문화가 독자적으로 발달 = 신석기문화의 다원적 발전론
반론: 신석기문화는 앙소문화와 용산문화로 일원화 할 수 없으며 전 중국에 걸쳐 신석기 문화가 독자적으로 발전하였다.
→다원적 발전론
@ 앙소문화 (bc 5000 ~ 3000) → 대문구 문화(bc4500~2300 : 앙소와 용산문화 사이의 독자적인 문화) → 용산문화(bc2500~1500)
@ 양자강 유역의 신석기 문화 : 하모도문화(bc5000경, 수도작시작, 벼농사 가능성)
하
@ by 사마천 ‘사기’ 중국의 역사는 삼황오제(신농, 복희, 수인, 황제, 전욱, 제곡, 요, 순)에 서 시작, 순의 양위를 받은 우가 하를 세움.
@ 우 : 황하의 치수건설
@ 하의 수도 : 하남성 언사현 이리두 유적지 ???
은
1. 은의 성립 : 하 걸왕 - 말희(주지육림) vs 은 탕왕 → bc1600 년경
2. 은의 수도
@ 초기 하남성 이리두 → 중기 정주 이리강 → 후기 하남성 안양 은허유적
@ 19대 반경이후, bc 1300년경 → 보다 강력한 왕권 구축 가능,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 으로 정착됨
3. 은의 국가조직
@ 은, 주시대 : 도시국가 or 읍제국가
# 도시국가론 : 세계사의 발전 법칙을 중국 고대사에 적용
- 국가의 발전유형 : 씨족사회 → 도시국가 → 영토국가(전국시대) → 통일제국(진, 한)
# 읍제국가론 : 국가의 발전 형태보다 은, 주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사회구조에 초점
- 읍 : 혈연 관계로 결합된 씨족동동체
- 속읍 → 족읍 → 대읍의 3층 구조를 형성하면서 서로 종속관계로 결합
- 읍과 읍 간 결합관계의 가장 중심을 이루는 것 : 씨족의 제사, 씨족 공동의 군사행동
- 이 읍이 서주, 춘추시대로 내려오면서 국 > 도 > 비 의 중층적 지배관계 성립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