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이사야 저작설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서론 박철현 교수의 이사야저작설 레포트입니다. 작성자는 99 A+를 받았으며 교수님게 상당한 칭찬을 받았습니다. 조금 수정하신다면 큰 도움이 되실 거라고 자부합니다. 어떤 자료도 대충 만들지 않습니다.
3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0.20 최종저작일 2014.03
32P 미리보기
이사야 저작설
  • 미리보기

    소개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서론 박철현 교수의 이사야저작설 레포트입니다.
    작성자는 99 A+를 받았으며 교수님게 상당한 칭찬을 받았습니다.

    조금 수정하신다면 큰 도움이 되실 거라고 자부합니다.
    어떤 자료도 대충 만들지 않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사야서의 통일성에 대한 찬반역사
    가. 통일성 반대-문학적 비평사
    나. 이사야서의 통일성 인정 연구사
    1) 전통적 접근방식
    2) 편집 비평적 접근방식
    3) 정경적 접근방식
    4) 문학적 접근방식
    2. 비평학자들의 주장 정리
    가. 역사적인 상황
    나. 신학적인 차이
    다. 언어 및 문체
    3. 비평학자들의 주장 반박
    가. 역사적인 상황
    나. 신학적인 차이
    다. 언어 및 문체
    4. 이사야 저작의 부가적 증거들
    가. 예언의 통일성
    나. 신학의 무오류적 증거
    다. 표제어의 의도
    라. 제2이사야 저자불명
    마. 이사야 13:11
    바. 다른 선지서와의 관계
    사. 구조적 통일성
    아. 모티브적 통일성

    Ⅲ. 결론

    본문내용

    이사야서의 저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이사야가 아니었고, 다양한 저자들의 글이 편집된 것이다라는 주장을 들여다보면 오경의 저자가 모세였는지 의심했던 문서설주의자들의 견해가 떠오른다. 문서설을 주장했던 것과 같은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이사야서의 저작권 문제도 등장하게 되었다.
    Gleason L. Archer는 18세기 후반 서구에서 자연신론(deism)이 발달함에 따라 초자연적 확신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미래사건을 예견하는 이사야서의 상당부분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음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 책이 단순히 인간적 기원의 책으로 취급되었다면, 이러한 성공적인 예언은 그것이 성취된 후에 기록되었다거나 아니면 최소한 성취되던 때에 기록되었으리라고 설명해야 함은 어쩔 수 없는 필연이었다 고 말한다.

    <중 략>

    그는 먼저 이사야서에 대한 역사 비평 방법론을 단계적으로 비평해 나간다. 그는 둠의 가설을 따르는 많은 역사 비평 학자들이 연도와 저작권에 대해 저마다 다른 견해를 피력함으로써 어떠한 합의점에도 도달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해 낸다. 그는 “선지자는 그가 속한 역사적 상황에 대해 선포할 수 있을 뿐, (미래의) 구체적인 예언을 선포할 수 없다 고 믿었던 역사 비평 학자들의 입장에 맞서 그들이 이사야서의 종교적 메시지를 평가 절하했다고 비판한다. 나아가 오스왈트는 ”수백 년간 이루어진 복잡한 편집 과정에 대한 가정이 과연 통일성에 대해 만족할 만한 설명을 할 수 있는가? 에 대해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진술한다.

    <중 략>

    본 예언서의 서두(1:1)는 책 전체를 표상하려는 의도를 품고 있다. 본 서두는 기술하기를 ①환상 ②아모스의 아들 이사야의 환상으로 ③유다와 특별히 예루살렘을 다루었던 환상 ④특수한 시기에 보았던 환상이라고 했다. 이 표제는 아마도 이사야 자신에 의해 덧붙여졌을 것이다. 만약 그것이 후대 편집자들에 의한 것이었다면 한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곧 그 편집자들로 하여금 본 예언서를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에게 귀의시키도록 한 결정적 요인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참고자료

    · Edward J. Young,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오병세․홍반식 역, 『구약총론』 (개혁주의 출판사, 2012).
    · Gleason L. Archer, A Survey of Old Testament Introduction; 김정우․김은호 역, 『구약총론』 (Christian Literature Crusade, 2012).
    · William S, Lasor, Old Testment Survey; 박철현 역, 『구약개관』 (크리스쳔 다이제스트, 2009)
    · Gordon J. Wenham, Exploring The Old Testament vol 1 The Pentateuch; 박대영 역, 『모세오경』 (성서유니온 선교회, 2007).
    · Tremper Longman & Raymond B. Dillard,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mament; 박철현 역, 『최신구약개론』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9).
    · Oswalt, John N. The Book of Isaiah: Chapter 1-39. Grand Rapids: Eerdmans, 1986,
    · Alec Motyer, The Prophecy of Isaiah :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 Martin E. Tate, The book of Isaiah in Recent Study in Forming Prophetic Literature: Essays on Isaiah and Twelve in Honor of John, D. W. Watt, JSOTSup 235(Sheffield Academic Press, 1996)
    · R. E. Clements, Zion As Symbol and Political Reality in Studies in the Book of Isaiah : Festschift A. M. Beuken, ed. J. Van Ruiten & Vervenne(Leuven: Leuven Umiversity Press, 1997)
    · Rolf Rendtorff, The Composition of the Book of Isaiah, in Margaret Kohl(Minneapolis: Fortess Press, 1994).
    · Brevard. S. Childs, Biblical Theology in Crisis(Philadelphia: Westminster, 1970), 박문재 역, 『성경신학의 위기』(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2)
    · Brevard. S. Childs,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London: SCM Press, 1980), 김갑동 역, 『구약정경개론』(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 Christoper R. Seitz, Isaiah 1-66: Making Sense of the Whole, in Reading and Preaching the Book of Isaiah,
    · Edgar W. Conrad, Reading Isaiah, OBT(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1), 장세훈 역, 『이사야서 읽기』(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2).
    · katherine Pfisterer Darr, Isaiah’s Vision and the Family of God(Louisville : Westerminster John Knox Press, 1994)
    · Bernhard W. Anderson, Exodus Typology in Second Isaiah, in Israel‘s Prophetic Heritage, ed. Bernhard W. Anderson and Walter Harrelson(New York : Harper and Brothers, 1962)
    · Bernhard W. Anderson, Exodus Typology in Second Isaiah, in Israel‘s Prophetic Heritage, ed. Bernhard W. Anderson and Walter Harrelson(New York : Harper and Brothers, 1962)
    · Gerhard von Rad, Old Testment Theology Ⅱ, trans. D. M. G. Stalker(New York : Harper and Row, 1965)
    · J. Bright, The Kingdom of God (Nashville: Browne and Nolan, 1941-1943)
    · Clements, Beyond Tradition History: Deutero-Isaianic Development of First Isaiah’s Themes, JSOT 31(1985),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