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현행 교원양성의 질적 관리 체제의-초등 교원양성체제의 현황과 문제점,중등교원 양성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믿고 받아 가셔도 되는 자료입니다. 레포트 쓰시는 데 유용하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0.15 최종저작일 2014.10
21P 미리보기
현행 교원양성의 질적 관리 체제의-초등 교원양성체제의 현황과 문제점,중등교원 양성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 미리보기

    소개

    믿고 받아 가셔도 되는 자료입니다. 레포트 쓰시는 데 유용하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I. 초등 교원양성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II. 중등교원 양성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III. 교원양성의 질적 수준향상을 위한 대안 탐색
    1. 정부의 교원양성기관의 평가인증제도
    2. 교육대학교를 인근 종합대학교에 통합
    3. 교원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과 교원양성 통로의 다양화
    4. 교원양성기관의 질적인 수준을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도입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 나라는 초등과 중등교원의 양성체제가 분리되어 있다. 초등교원은 2000년도 현재 총 4,895명 가운데 4,735명을 각 시도에 소재하고 있는 11개 교육대학에서 대부분 양성하고, 나머지 210명을, 한국교원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초등교육과에서 각각 160명과 150명을 양성하고 있다. 그 현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중등교원은 사범대학, 일반대학의 교육과, 일반대학의 교직과정을 통해 양성되고 있다. 또한, 본래 현직 교원의 연수를 주목적으로 하는 교육대학원에서도 일부 양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초등교원은 주로 교육대학교에서 양성되고 있다. 종합대학과 분리된 초등교원양성체제는 일제시대에 도입되었다. 우리나라를 강점하고 있던 일본제국은 식민지 백성들에게 ‘황국신민’으로서의 자세와 기본적인 학습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당시의 ‘국민학교’ 교사를 기르기 위해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진학하는 5년제 사범학교를 설립하였다.
    정부 수립 초기에도 일제가 설립한 5년제 사범학교체제는 그대로 존속되었다. 1950년, 당시 문교부는 기존의 사범학교를 국립으로 이관시키고 대구사범학교를 신설하였으며, 1951년까지 18개의 사범학교를 신설하였다. 1957년 이화여자대학교는 사립학교로서는 최초로 사범대학 교육학과에 초등교육전공을 두어 초등교사를 양성하기 시작했다. 당시 사범학교가 고등학교 수준이었던 것에 비해, 이화여대 초등교육과는 4년제 대학교육이 이루어졌다.
    1950년대 중반에 이르러 고등학교 수준의 사범학교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제도에 대한 여러 문제점이 거론되었다. 교원의 전문성과 자질을 기르기 위한 기간의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 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곧 바로 교사가 되었을 때 그 연령이 너무 어리다는 점, 사범학교의 졸업생들의 기초 학력이 낮다는 점 등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당시의 문교부는 1962년에 사범학교를 2년제 교육대학으로 개편하였다.

    참고자료

    · 강영삼(1998).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의 교원양성체제」. 새교육 1998년 7월호.
    · 교육부 사범대학 평가단(1998). 1998년도 사범대학 평가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 교육부(2000). 2000년도 중등임용고사 현황.
    · (2000). 2000학년도 교원양성기관 현황.
    · (1999). 「’98 사범대학 평가 우수사례.」 우수사례 발표회 자료집.
    · (1999). 「교원양성체제 개선방안」. 교육부 교원양성 연수체제 개선연구위원회 공청회 자료집.
    · 교육부 사범대학평가단, 한국교육개발원(1999), 1998년도 사범대학평가 보고서. 교육부 사범대학평가단, 한국교육개발원
    · 교육인적자원부(2001),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대비하는 교직발전종합방안. 교육인적자원부
    · 김재복, 정태범, 서정화, 이윤식, 김경이(2000). 초등교과전담교사 양성과 임용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정책연구과제.
    · 김종서, 박대규, 강영삼, 한경수(1970). 「교원양성제고에 관한 연구.」 대한교육연합회 정책연구. 대한교육연합회.
    · 김종철(1989). 한국 교육정책연구. 교육과학사.
    · (1976).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 (1979). 한국고등교육연구. 배영사.
    · 김혜숙, 김영철, 강보경(1998). 교육대학원 평가 기준 및 척도 개발연구. 수탁연구 CR9832. 한국교육개발원.
    ·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1995),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 (1996),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III).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2000). 지식기반사회의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육정책보고서.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 마키 마사미(2000). 「일본의 교원정책 사례」. 새교육 2000년 2월호.
    · 박덕규(1997). 교원 인사제도 국제비교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978.
    · 박인숙(1999). 중등교원양성 및 채용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서남수(1997). 「내가 본 영국의 교원양성제도」. 교육월보.
    · 서정기(1978). 「교원양성제도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 논문집. 제17집.
    · 손경수(1999). 「영국의 교사양성제도에 대한 고찰」. 한국교원대 교수논총 15/2.
    · 안병곤 윤강구(2000). 「일본의 학교 교육과 교사 양성 제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중등교육연구소 편. 세계의 학교교육과 교사양성교육. 교육과학사.
    · 오영수(2000). 「교원전문대학원(가칭) 설립 및 운영 방안」. 교원양성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학회.
    · 윤정일 외(1995). 교원교육개혁을 위한 종합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 윤정일(1984). 한국교원 교육제도 변천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윤종건(2000). 「교원전문대학원의 허와 실.」 새교육 통권 551호.
    · 윤형모(1971). 학교경영의 계획과기술. 현대교육총서출판.
    · 이도수(2000). 「영국의 학교교육과 교사양성제도」. 세계의 학교교육과 교사양성교육.교육과학사.
    · 이돈희, 김남두, 최충옥, 박덕규, 박인심(1998). 대학원 수준에 있어서의 교원양성 방안. 수탁연구 CR9812. 한국교육개발원.
    · 장용희(2001), ‘한국의 초등교원 정책’, 한.일 교원정책비교 국제학술 심포지움. 한국.일본교육학회
    · 정진곤(1999),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는 대학교육체제 개혁방안연구. 교육정책연구 99특14.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 정진곤 외(1999), 1998년도 사범대학 평가 보고서. 교육부 사범대학 평가단.
    · 정진곤 외(2000), 교원전문대학원(가칭) 도입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정태범(2001). 한국교원대학교의 설립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 정태범 외(1999). 교원양성기관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개교 15주년 기념 연구보고서.
    · 정태범, 서정화, 김명수(1997). 교육과정 개정 관련 교원대책.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 개정 위탁연구 보고서.
    · 조경원, 김명희, 김영수, 류희찬, 송광용, 한준상(2000). 교육전문박사(Ed. D.)학위과정 모델 개발방안 연구. 교육부정책연구과제.
    · 한국교육개발원(1998). 한영 교육정책 공동세미나 자료집.
    · 황규호(2000).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방안」. 교원양성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학회.
    · Fujita, H.(2000). 「School of Education, the University of Tokyo and other Japanese Universities, Japan ; Chawalert Lertchalolarn Paitoon Sinlarat. Innovation in Teacher Education: Roles of Schools of Education in a Borderless World.. Faculty of Education Chulalongkorn University.
    · Hayakawa, M.(2000). Studies and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in Japan . Paper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forming Teacher for the New Millennium: Searching for New Dimensions. July 1013, Bangkok.
    · Horiuchi, T.(2000). Teacher Education Reform in Japan . Paper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forming Teacher for the New Millennium: Searching for New Dimensions. July 1013, Bangkok.
    · Lucas, C.J(1997), Teacher Education in AmericaReform Agenda for the TwentyFirst Century. N.Y;St. Martins Press
    · NASDTEC(1998). The NASDTEC manual on the preparation and certification of educational personnel. (4th ed.).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 Teacher Training Agency, Accreditation as a provider of Initial Teacher Training.
    · Teacher Training Agency, Initial Teacher Training : At a Glance, 2000.
    · Teacher Training Agency, Initial Teacher Training : Performance Profiles, 2000.
    · Teacher Training Agency, Requirements for all courses of Initial Teacher Training.
    · The Tsukub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1998). Education in Japan. 이종재 역. 일본의 교육(미간행).
    · http://www.bckorea.or.kr/korean/education/guide/system.htm
    · http://www.bu.edu/educatin/undergrad/certification.html (2001. 5. 1 현재 자료)
    · http://www.centerx.gseis.ucla.edu/tep/ (2001. 5. 1 현재 자료)
    · http://www.dfee.gov.uk/circular/0498/annexa.pdf
    · http://www.ed.uiuc.edu/CTE/ (2001. 5. 1 현재 자료)
    · http://www.gse.harvard.edu/prodev.html (2001. 5. 1 현재 자료)
    · http://www.ken.go.kr (경기도 교육청 홈페이지)
    · http://www.nottingham.ac.uk/education/courses/pgcediag.htm
    · http://www.snue.ac.kr (서울교육대학교 홈페이지)
    · http://www.tc.columbia.edu/admissions/catalog/7AcEdSer/7teachered.htm (2001. 5. 1 현재 자료)
    · http://www.teachingandlearning.org/licnsure/praxis/
    · http://www.ucet.ac.uk/op13.html
    · http://www.unich.edu/~educ693/mac/index.htm (2001. 5. 1 )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