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Culture의 어원은 라틴어 Colere로서, “습관, 경작, 보호, 존경”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Culture가 agri-culture와 연결되는 것에서 쉽사리 짐작할 수 있는 것처럼, 원래 ‘문화’는 곡물을 기르는 농업이나 목축과 관련된 “자연적 성장의 과정”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16세기에 들어오면서 이러한 “자연적 성장”이 인간의 발달 과정에까지 확장되어 쓰이게 되고, 계몽주의 시대를 거치며 자연과 구별되지 않는 야만의 상태에서 ‘문명’으로의 발전이라는 진화론적 함의를 지니게 된다.
문화 개념이 결정적인 전환을 맞게 된 것은 헤르더의 저작 Ideas on the Philosophy of the History of Mankind에 이르러서이다. 여기서 헤르더는 문화 혹은 문명이라는 개념에 은밀하게 숨겨져 있던 인류의 보편적 발전 과정이라는 ‘보편사’의 관념을 비판하며, “문화의 복수성”을 주장한다. 헤르더에 따르면 민족과 시기에 따라 구별되는 다양한 복수의 문화들이 있을 따름이며, 한 민족 내부에서도 사회적?경제적 차치에 따라 구별되는 여러 개의 문화가 병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헤르더에 이르러 문화는 “삶의 방식”이라는 인류학적 개념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문화 개념은 낭만주의 운동을 통해 독특한 변전을 겪게 된다. 그들은 문화를 ‘문명’과 대립되는 용어로 사용한다. 낭만주의 운동은 ‘민속문화’(folkculture)라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내면서 문화의 민족성과 전통성을 강조하며, 산업사회에 들어서 발생한 새로운 문명의 ‘기계적’, ‘물질적’ 특징을 비판하기 위해 ‘문화’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문화는 ‘인간적’ 발전을, 문명은 ‘물질적’ 발전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문명’과 ‘문화’를 대립시키는 낭만주의자들의 문화 개념은, 영국에서 19세기 후반 매튜 아놀드의 저서 ??문화와 무정부 상태 Culture and Anarchy??를 거쳐 리비스를 중심으로한 잡지 ??검토 Scrutiny??로 계승되는 ‘문화와 문명’의 전통으로 연결된다.
· 김대행,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 다매체 시대의 국어교육 , 98년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봄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998
· 김대행, 국어교과학의 지평 , 서울대 출판부, 1995
· 김성진, 아이러니를 통한 소설의 현실 인식 연구 , 서울대 석사, 1994
· 김성진, 문화연구와 국어교육 , 문학과 교육 1998년 여름호, 한국교육미디어, 1998
·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윤지관, 근대사회의 교양과 비평 , 창작과비평사, 1995
· 이도영, 문화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 선청어문 24집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1996
· 임영호 편역, 스튜어트 홀의 문화 이론 , 한나래, 1996
· 정현선, 문화교육이라는 문제 설정 2 , 국어교육연구 4집, 국어교육연구소, 1997
· M. 호르크하이머/T.W. 아도르노(김유동, 주경식, 이상훈 역), 계몽의 변증법 , 문예출판사, 1995
· 그래엄 터너(김연종 역), 문화연구 입문 , 한나래, 1995
· 게오르그 루카치(반성완 심희섭 역), 영혼과 형식 , 심설당, 1988
· 더글라스 켈너(김수정, 정종희 역), 미디어 문화 , 새물결, 1997
· 마틴 제이(황지우 역), 변증법적 상상력 , 돌베개, 1980
· 발터 벤야민(반성완 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 에티엔 발리바르, 비동시대성:정치와 이데올로기 , 알튀세르와 마르크스주의의 전화 , 이론, 1993
· 월터 옹(이기우, 임명진 역),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2판), 문예출판사, 1997
· 존 스토리(박모 역),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 현실문화연구, 1994
· 프리드리히 니체(김태현 역), 도덕의 계보/이 사람을 보라 , 청하, 1982
· 페터 뷔르거(최성만 역), 전위예술의 새로운 이해 , 심설당, 1986
· Adorno, Prisms, MIT Press, 1981
· Andrews R., ed., Rebirth of Rhetoric, Routledge, 1992
· Anne Ruggles Gere et., Language and Reflction, Macmillan, 1992
· David Buckingham Julian SeftonGreen, Cultural Studies goes to School: Reading and Teaching Popular Media, Taylor Francis, 1994
· Goodwyn A, English Teaching and Media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1992
· Hartmut Scheible, Wahrheit und Subjekt Aesthetik im burgerlichen Zeitalter, Reimbeck bei Hamburg, 1988
· McCarthy Carter, Language as Discourse: Perspectives for Language Teaching, Longman, 1994
· Peter U. Hohendahl, Art Work and Modernity : The Legacy of Gorg Lukacs, New German Critique 42, Fall 1987
· Williams R, Keywords(2nd Edition), Flamingo,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