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문헌〉
· 강석찬, “중국의 ‘일국가 이제도’론과 대만의 신대류정책”, 『중국연구』 제 7권, 1998.
· 고성빈, “동아시아에서의 중국과 미국의 패권경쟁”, 『신아세아』 통권제 12호, 1998.
· 고성빈, “미-중 양국의 국가이념과 거시적 전략”, (미발표 원고), 2002.
· 김우상, “미․중관계의 미래와 동아시아 안보질서 전망”, 『국제정치논총』 제 40권 4호, 2001.
· 김호준, “중국의 대미정책”, 『중국연구』 제 14권, 1995.
· 문흥호, “중국의 21세기 구상”, 『신아세아』 제 7권 2호, 1998.
· 문흥호, “天安問事件 이후의 中․美關係-臺灣問題를 中心으로”, 『사회과학연구』 제 10권 1호,
· 1997.
· 박건영, “미국의 대북한 정책의 재조정: 기본합의와 그 이후”, 『한국과 국제정치』 제15권 1호,
· 1999.
· 박두복, “21세기 중국의 정치와 외교”, 『신아세아』 통권제 16호, 1998.
· 박윤하, “미국의 대 대만 무기판매와 대만의 안보”, 『정정(政正)』 제 13권 1호, 2000.
· 서진영, 『현대중국정치론: 변화와 개혁의 중국의 정치』, 서울:나남출판, 1997.
· 송영우, “중국은 강대국인가?”, 『중국연구』 제 19권, 2000.
· 송영우, “중국의 강대국 외교 - 미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중국연구』 제 17권, 1998.
· 안병준, “냉전 후의 중국 외교 정책”, 『사상』 여름호, 1993.
· 오용석, “중국 대외정책의 원칙 및 목표의 지속과 변용”, 『중국연구』 제 19권, 2000.
· 이동률, “중국 민족주의가 대외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미 관계를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 제 41권 3호, 2001.
· 이상우, “미국과 중국의 숙명적 대결: 동북아 긴장의 기본 구조”, 『신아세아』 제 8권 2호,
· 2001.
· 이상우, “미국과 중국의 숙명적 대결: 동북아 긴장의 기본구조”, 『신아세아』 제 8권 2호,
· 2001.
· 이희옥, “대만해협의 위기와 동북아 질서”, 『계간 동향과 전망』 통권제 30호, 1996.
· 장공자, “중국의 개혁개방 10년; 중국의 개방 10년과 대만관계”, 『중국연구』 제 8권, 1989.
· 조현태, “美․中 갈등구조 분석”, (미발표원고), 2001.
· 최대석, “동북아 지역안보 협력체 조성에 대한 미국의 입장”, 『국제정치논총』 제 36권 2호,
· 1997.
· 최주열, “미국의 대 대만정책 - 변화가능성에 대한 관찰”,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 논문), 1999.
· 최춘흠, “시사초점: 대만해협의 긴장의 배경과 전망-중․대만 양안관계의 긴장은 어디로”,
· 『통일한국』 통권제 47호, 1996.
· 해리하딩, 『중구과 미국: 패권의 딜레마』, 서울:나남출판, 1995.
· 한석희, “부시의 대중정책 변화와 미․중 관계 연구” 『東西硏究』 제13권 1호, 2001.
· 〈참고자료〉
· 중앙일보, 1995년 10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