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가정폭력] 가정폭력연구

"[가정폭력] 가정폭력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1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06.17 최종저작일 2003.06
12P 미리보기
[가정폭력] 가정폭력연구
  • 미리보기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아내 구타의 이유
    2. 구타당하는 아내의 특징
    3. 구타하는 남편의 특징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및 해석
    1. 신체적 정신적 손상
    2. 아내 구타에 대한 정신의학적 해석

    V.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가정 폭력은 폭행자에 의해 한 가정의 질서가 파괴당하고, 존중 받아야 할 인간의 권리가 무참하게 짓밟히며 희생자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고통을 안겨주는 폭력행위이다.
    한 가족 안에서의 폭력은 가족 구성원간의 평등이 무시되고 힘이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지배하는 소유관계로 되어버려 건강한 가정의 모습을 가질 수 없게 된다. 가정 폭력의 희생자들은 대부분 아내와 자녀들이다(Gayford, 1975a ; Hilberman, 1980 ; Viken,1982 ; 김광일, 1985).
    아내 구타는 일반적인 폭력과는 다르게 의례히 있을 수 있는 가정안의 일이며, 문제삼는 것을 부도덕한 일로 여기거나 금기처럼 덮어버리고는 매맞는 아내에게 책임을 묻고, 폭력자는 대개 사회적으로 법적으로 관대함을 받는 것이 사회 통념이었다(Lystad, 1975 ; Martin, 1976 ; Dobash & Dobash, 1978 ; Rounsaville, 1978 ; Hilberman, 1982 ; 김광자,김광일, 1985 ; 서명선, 1985).
    또한 가부장적인 가족제도에서 남편과 아내가 주종관계를 이루며 남편에게 경제적으로 예속되어 있는 점, 과거로부터 매를 맞고 살아온 타당성으로 매를 맞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스스로 맞을만 하니까 맞는다는 인식, 실제로 매맞는 아내가 법과 사회에 호소를 해도 그 심각성을 인정해주지 않고 오히려 매맞는 아내에게 잘못이 있는 것으로 인식, 구타문제에 개입하기를 꺼리고 개인문제로 돌리며 당사자끼리 해결하도록 미루어버리는 태도 등이 아내 구타의 심각성에 비해 실지로는 사회문제가 되지 못하는 이유로 밝히고 있다(Martin, 1976 ; Straus, 1978 ; Walker, 1978 ; Hilberman, 1980 ; Schechter, 1982 ; 김광자, 김광일, 1985).
    폭력적인 가정은 그 가족들로 하여금 폭력과 폭력방법을 학습하게 할 뿐 아니라 폭력의 사용을 문제 해결에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가르치며 가정이 폭력을 학습시키는 훈련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Gelles, 1978 ; Straus, 1978). 가정이 구타의 학습장이 되어도 구타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미흡한 상태이므로 희생자인 아내는 법과 사회에 호소를 할 용기가 꺽여버리고 호소 후에는 더욱 심한 구타가 예상되므로 두려움을 갖는다(Pizzey, 1974 ; Dewsbury, 1975 ; Gayford, 1975a, 1975b ; Lystad, 1975 ; Martin, 1976 ; Dobash & Dobash, 1978 ; Schechter, 1982 ; 김광일, 1985 ; 김희선, 1985).
    현재 아내 구타의 해결책이 미흡한 상태이며, 또한 가족 폭력이 세대간 전이됨에 따라 그것이 습관이 되고, 그 습관이 관습으로 굳어져서, 우리의 생활이 지배됨을 볼 때, 가족 폭력의 세대간 전이는 심각한 문제로 다가와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가족폭력의 세대간 전이에 대해, 그 심리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자료

    · 金光日(1985) : 구타당하는 아내 50예의 정신의학적 연구. 精神健康硏究, 3; 235-256
    · 金光子, 金光日(1985) : 아내 구타에 대한 태도 조사. 精神健康硏究, 3;218-234
    · 김희선(1985) : 사례연구. 『여성의 전화 개원 2주년 사례 연구보고서』 서울, 여성의 전화
    · 서명선(1985) : 아내 학대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 신은혜(1984) : 1983년 하반기 사례 연구. 『여성의 전화 개원 1주년 기념보고서』 서울, 여성의 전화
    · 이화수(1984) : 아내 구타 설문지 조사보고 『여성의 전화 개원 1주년 기념보고서』 서울, 여성의 전화
    · Beardslee, W., Bemporad, J., Keller, M.B., et al(1983) : Children of parents with major affective disorder : Review. Am., J. Psychiat., 140;825-832
    · Chessler, P.(1972) : Women and Madness.New York, Doubleday
    · Dewsbery, A.R.(1975) : Family violence seen in general practice. Roy. Soc. Health J., 95;290-294
    · Dobash, E. & Dobash, R.(1978) : Wives : The 'appropriate' victims of marital violence. Victimology : An Internat. J., 2;426-442.
    · Dobash, E. & Dobash, R.(1979) : Violence Against Wives. New York, The Free Press.
    · Faulk, S.(1977) : Men who assult their wives. IN : Battered Women : A Psychosociological Study of Domestic Violence, edited by Ray, M.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 Fitch, F.J. & Papantonio, A.(1983) : Men who batter : Some pertinent characteristics, J.Nerv.Ment.Dis., 171;190-192
    · Gayford, J.J.(1975a) : Wife battering : A preliminary survery of 100 cases. Brit.Med. J.,1;194-197
    · Gayford, J.J.(1975b) : Research on battered wives. Roy.Soc.Health J.,95;288-289
    · Gelles, R.J.(1976) : Abused wives : Why do they stay. J.Marriage & Family, 38;659-668
    · Gove, W & Tudor, J.(1973) : Adult sex roles and mental illness. Amer. J. Soc.,78;812-835
    · Hanks, S.H. & Rosenbaum, C.P.(1977) : Battered women : A study of women who live with violent alcohol-abusing men. Amer.J.Orthopsychiat.,47;291-306
    · Hilberman, E.(1980) : The "wife-beater's wife" reconsidered. Amer.J.Psychiat.,137;1336-1347
    · Hilberman, E. & Munson, K.(1978) : Sixty battered women. Victimology : An Internat. J.,2;460-470
    · Kazdin, A.E., Moser, J., Colbus, D., et al(1985) : Depressive symptoms among physically abused and psychiatrically disturbed children, J. Abnorm. Psychol, 94;298-307
    · Kinard, E.M.(1980) : Emotional development in physically abused children. Amer. J. Orthopsychiat, 50;686-695
    · Levinger, G. (1966) : Sources of marital, dissatisfaction among applicants for divorce. Am.J.Orthopsychiat, 36 ; 803-807
    · Lynch, C.G. & Norris, T.L.(1978) : Services for <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