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산업경제분석 및 FTA 추진
- 최초 등록일
- 2014.06.08
- 최종 저작일
- 2013.11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CASE STUDY
1. 인도의 경제정책
2. 인도의 산업
3. 인도의 시장현황
Ⅱ. TEAM QUESTIONS
1. 인도 FDI 유치 강점
2. 인도에 진입하는 기업들의 FDI 투자방식
3. 인도의 교육 시스템
4. 인도의 인프라 구축정책과 효과
Ⅲ. 교훈 및 시사점
본문내용
o 인도는 1947년 독립 직후 전근대적 사회제도인 종교관습, 사회간접자본의 미비와 공업기반결여로 농업부문에 크게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업국에 불과했으나, 1950년대 초부터 수입대체산업 육성을 중심으로 한 중공업발전과 농업 생산기반의 견고화에 중점을 둔 경제발전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1970년대 이후 공업 생산기반구축과 식량자급에 성공함.
o 1980년대 들어 석유증산 및 선진국들의 경기회복에 힘입어 연평균 5%의 성장을 실현하고, 특히 라지브 간디 총리 집권 이후 제한적이나마 외국인투자 자유화조치 등 경제자유화, 개방화정책을 추진함.
o 1990년 초에 발발한 걸프전으로 인도경제 상황은 악화되기 시작, 국내 정치 불안과 함께 외환위기가 초래되었으나, IMF 등 국제금융 기관의 지원으로 이를 극복하고 라오 총리 지도하에 1991년 신 경제정책(New Economic Policy)을 채택, 경제개혁 및 개방정책을 시행함.
o 1999.10월 출범한 BJP 주도의 NDA 정부는 빈곤타파 및 국력에 상응하는 경제력 달성을 목표로 제2세대 경제개혁정책을 추진하였으며, 특히 전 업종에 걸친 FDI 한도 확대 및 IT 산업 등 서비스산업 권장, 그리고 공기업의 과감한 민영화를 통한 정부 재정적자 완화 등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부여함.
o 2004.5월 집권한 국민회의당 주도의 UPA 정부는 전임 NDA 정부의 개혁정책 혜택이 주로 중산층 이상에게만 집중되었다는 것을 비판하고, 경제개혁은 계속 추진하되 그 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왔던 부문 및 계층(농업, 저소득층 등)에 대한 배려 확대에 역점을 두는 소위 ‘인간의 얼굴을 한 개혁’을 추진해 오고 있음.
참고 자료
『인도, 지금도 결코 빠르지 않은 기회의 땅』,아시아리더⑧-인도편 아시아경제 기사 2008.5.18
인도, 6개분야 FDI 규제완화발표 원문요약, 코트라
최근 인도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동향, 주인도 대사관
인도타밀나두주 투자관련국장(Dr.S.Balaji)
인도산업연합회(CII) 남인도지부장(Dr.Banerji)
Business Line 투자관련기사
인도 상공부(http://dipp.nic.in/)
이코노믹리뷰-한상곤 2008-05-15
삼성경제연구소
인도 IT 아웃소싱 산업의 전망(http://blog.naver.com/balance1202/10021020418)
SERI경제 포커스 / 2007.4.9 / 삼성경제 연구소 http://blog.naver.com/ajfxlrnfma/10001899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