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문헌>>>
· 『삼국사기』, 이병도 역주, 을유문화사
· 『삼국유사』, 이민수 역주, 을유문화사
· 『일본서기』, 전용신 역주, 일지사
· 『삼국지』, 김원중 역주, 신원문화사
· 『한국사 9 - 통일신라』, 국사편찬위원회, 1996
· 『한국사 2 - 고대』, 국사편찬위원회, 1974
· 『한국사 3 - 고대』, 국사편찬위원회, 1974
· 『한국사 3』, 한길사, 1994
· 『한국사 시민강좌 5 - 한국사상의 분열과 통일』, 일조각, 1989
· 신채호,『조선상고사』, 일신서적출판사, 1998
· 이이화,『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 3』, 한길사, 1998
· 김용만,『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1998
· 이도학,『새로 쓰는 백제사』, 푸른역사, 1997
· 이종욱,『신라의 역사』(1, 2), 김영사, 2002
· 신형식,『신라사』, 이화여대출판부, 1988
· 신형식,『한국사의 새로운 이해』, 이화여대출판부, 1997
· 임상선,『발해사의 이해』, 신서원, 1990
· 임용한,『전쟁과 역사 - 삼국편』, 혜안, 2001
· 이희근,『한국사는 없다』, 사람과 사람, 2001
· 신복룡,『한국사 새로 보기』, 풀빛, 2001
· 김용만,『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 바다출판사, 1999
· 장한식,『신라 법흥왕은 선비족 모용씨의 후예였다』, 풀빛, 1999
· 정순태,『김유신 - 시대와 영웅』, 까치, 2001
· 김성호,『단군과 고구려가 죽어야 민족사가 산다』, 월간조선사, 2002
· 김영하,「신라의 백제통합전쟁과 사회변동」, 한국고대사학회 제 12회 학술토론회 발표요지, 1999
· 김기흥,「삼국시기 전쟁과 조세제의 변화」, 한국고대사학회 제 12회 학술토론회 발표요지, 1999
· 이문기, 「7세기후반 신라의 군제개편과 그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제 12회 학술토론회 발표요지, 1999
· 하일식,「삼국통일과 정치·사회적 변동」, 한국고대사학회 제 14회 학술토론회 발표요지, 2001
· 이창훈,「7세기 신라 민의 재편과정」, 한국고대사학회 제 50회 정기발표회 발표요지, 1999
· 신형식,「삼국통일의 역사적 성격」, 『한국사연구 61·62』, 한국사연구회, 1988
· 신형식,「삼국시대 전쟁의 정치적 의미」, 『한국사연구 43』, 한국사연구회, 1983
· 변인석,「당에서 바라본 신라의 삼국통일」, 『사학연구 50』, 한국사학회, 1995
· 신형식,「신라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미」,『선사와 고대』, 한국고대학회, 1992
· 노태돈,「삼한에 대한 인식의 변천」,『한국사연구 38』, 한국사연구회, 1982
· 박민경,「무왕·의자왕대 정국운영의 연구」,『한국고대사연구 20』, 한국고대사학회, 2000
· 김수태,「백제의 멸망과 당」
· 권덕영,「나당 교섭사의 명암」
· 김영하,「신라 삼국통일론은 타당한가」,『역사비평』, 역사비평사, 1993
· 김영수,「역사재조명:삼국통일」,『통일한국 23』, 평화문제연구소, 1985
· KBS 역사스페셜 - 3만 vs 20만! 신라는 당군을 어떻게 이겼나?-매소성전투의 비밀 (http://www.kbs.co.kr/history/vod.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