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조사론] 통계상식
- 최초 등록일
- 2003.05.16
- 최종 저작일
- 2003.05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통계상식 백가지'책을읽고 신문, 잡지, 책등에서 정말 열심히 사례를 찾아서 정리했습니다. a+받았구요~
많은 도움이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 2장 그래프나 도표로 살짝 속이기
① 밑부분 생략하기
② 애걔걔를 어머나로
③ 작은 차이를 눈에 확 띄게 하려면...
④ 수평축도 골라 잡으면
Ⅱ.4장 과학적인 조사결과가 그렇다는데야..
① 침소봉대
② 발표를 할까말까
③ 즉석 여론조사
④ 결과 따로 해석 따로
Ⅲ. 5장 퍼센트에도 속기 쉽다고?
① 기준 골라잡기
② 정확하려면 이쯤은 되어야
Ⅳ. 6장 헷갈리는 확률
① 달무리는 비가 올 징조(경험적 확률)
② 딸만 일곱 낳은 사연
③ 우연의 일치는 놀랄 일이 아니다
④ 점쟁이는 미래 유망 직업
Ⅴ. 7장 닭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① 미니스커트와 경기예측
② 원인은 딴곳에
결론
본문내용
요즘 해석이 분분한 사스 사망률을 보면 홍콩 당국은 (사망한 사스환자÷사스 감염 환자)×100으로 계산하여 홍콩에서의 사스 사망률이 7.3%라 하였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지금 치료 중인 환자는 어찌될지 모르므로 이를 빼고 계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홍콩의 사망률은 16.1%다. 사망률 7.3%와 16.1%는 얼핏 듣기에도 커다란 차이다. 그렇다고 통계를 낸 사람이 거짓말을 한 것은 아니다. 단지 기준을 어떻게 잡았는가에 따라 이렇게 큰 차이가 난 것이다.
평소 우리는 신문이나 잡지, 뉴스를 접할 때마다 많은 숫자와 그래프를 접하곤 한다. 하지만, 그 수치가 과연 정확한가 의심해보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신문이나 뉴스 등에서 보여지는 그래프는 수학적으로 왜곡된 것이 많다. 이러한 왜곡 현상은 강조하려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데이터를 단순화하거나 압축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그래프나 수치가 과장되면 독자에게 자칫 잘못된 정보를 줄 수도 있다.
참고 자료
<참고문헌>
동아일보(http://www.donga.com)
연합뉴스(http://www.yonhapnews.co.kr)
월간조선(http://monthly.chosun.com)
조선일보(http://www.chosun.com)
중앙일보(http://www.joins.com)
로또 645(http://www.lotto645.com)
로또 플러스(http://www.lottosoft.co.kr)
통계청(http://www.nso.go.kr)
신기한 확률 재미난 인생. 다나카 요시아스. 한숲출판사
읽기만 해도 술술 풀리는 확률의 세계. 마이클 올킨. 해바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