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rook, Peter, 김선 옮김,『빈 공간 The Empty Space 』, 청하, 1989
· 허순자 옮김,『열린문 The Open Door』, 평민사, 1996
· 남은주 옮김,『마하바라타 THE MAHABHARATA』, 예니,1986
· Williams, David 편저,『PETER BOOK AND THE MAHABHARATA Critical Perspectives』,London and New York , 1991
· Cohen, Paul B, "Peter Brook and the 'Two Worlds' of Theatre", Quarterly, 26, 1991, 5.
· Gibson, Michale, "Brook's Africa", The Arama Review,ⅩⅦ, 1973, 9.
· Heilpern, John, "Conference of the Birds: The Story Peter Brook in Africa", Methuen, 1994.
· Artaud, Antonin, 박형섭 옮김,『잔혹연극론 (Théâtre et son Double)』, 현대미학사, 2000
· Broket, Oscar G, 김윤철 옮김, 『연극개론』,한신 문화사, 2002
· Croyden, Margaret, 송혜숙 옮김,『20세기 실험극』, 현대미학사, 1994
· Fortier, Mark, 백현미.정우숙 옮김,『현대 이론과 연극』, 월인, 1999
· Innes, Christopher, 김미혜 옮김,『아방가드르 연극의 흐름:1892-1992』, 현대미학사, 1997
· Manfred Brauneck, 김미혜,이경미 옮김,『20세기 연극: 선언문, 양식, 개혁모델』, 연극과 인간, 2000
· Roose Evans, James,『전위연극론』, 동문선, 1989
· Simon, Alfred, 박형섭옮김,『기호와 몽상』, 동문선,1999
· 김상교, 『피터 브룩의 연출특성에 관한 연구』,경성대 석사, 1993.
· 김용일, 『피터 브룩의 ‘orghast'공연분석을 통해 본 비 화술 언어의 의사소통』 한양대 석사, 1991.
· 배은영, 『피터 브룩(Peter Brook)의[마하바라타 Mahabharata]공연에 나타난 연극언어(theatre language) 연구』,한양대 석사,1998.
· 손지나, 『피터 브룩의 셰익스피어에 대한 현대적 접근방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한 여름밤의 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석사, 2000.
· 홍인표, 『피터 브룩의 ‘한 여름밤의 꿈’에 나타난 신체적 접근을 통한 역할 창조 연구』동국대 석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