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영근, 「형법총론(제2판)」, 박영사, 2010.
· 최준혁, 「중지미수의 이론」, 경인문화사, 2008
· 이상돈, “중지미수에서 자의성 개념의 기호론적 재구성”, 저스티스 33,1(2000.3)
· 오영근, “중지미수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제14권 제1호 통권 제53호 (2003 봄)
· 박길준, “[형법 특별강좌] 중지범(중지미수)”, 고시월보, 제26권 제4호 (통권 293호) 2002.4
· 노현승, “중지미수에 관한 연구” 2009
· 김성돈, 형법총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8.
· 김용욱, “가능미수와불능미수의구분”, 이재상교수화갑기념논문집(2003).
· 김일수/서보학, 형법총론, 제11판, 박영사, 2006.
· 김종원, “불능미수”, 형사법강좌Ⅱ:형법총론(하), 박영사, 1984.
· 김종원, “형법제27조와미수범”, 법정(1963.11).
· 김태명, “형법제27조(불능범)의위험성요건의독자성과구체적의미”, 형사 법연구제26호(한국형사법학회, 2006.12).
· 김호기, “불능미수에서의착오, 결과발생의불가능, 위험성”, 비교형사법연구 제9권제1호(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7.7).
· 김호기, “살인죄에있어서불능미수와장애미수의구별”, 형사법연구제19권 제3호(통권제32호)(한국형사법학회, 2007.9).
· 김호기, “형법학에서의인과관계의의미와객관적귀속론”, 형사법연구제26 호특집호(한국형사법학회, 2006.12).
· 도중진, “불능미수와위험성”, 이재상교수화갑기념논문집(박영사, 2003).
· 문채규, “형법제27조(불능범)의‘위험성’ 표지”, 비교형사법연구제8권제2호(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6.12).
· 박상기, 형법개정법률안(1992년) 및제안이유서에대한비판과대안- 1992년 한국형사법학회춘계학술회의심의자료.
· 박상기, 형법총론, 제7판, 박영사, 2007.
· 박정근, “형법제27조의범죄정형과미수범의신체계”, 법정(1968.5).
· 배종대, 형법총론, 제8전정판, 홍문사, 2005.
· 손동권, 형법총론, 제2개정판, 율곡출판사, 2005.
· 신동운, “불능범에관한형법제27조의성립경위”, 서울대학교법학제41권 제4호(2001).
· 신동운, 형법총론, 제3판, 법문사, 2008.
· 신양균, “불능미수의법적성격”, 김종원교수화갑기념논문집(법문사, 1991).
· 오영근, 형법총론, 보정판, 박영사, 2005.
· 유기천, 개정형법학(총론강의), 제27판, 일조각, 1991.
· 이승준, “형법제27조(불능범) 논의의재검토”, 형사정책연구제18권제4호(통114 東亞法學 第42號권제72호)(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겨울호).
· 이재상, 형법총론, 제5판(보정판), 박영사, 2005.
· 이정원, “불능미수에서범죄실현의불가능과위험성”, 형사정책연구제18권 제4호(통권제72호)(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겨울호).
· 이정원, 형법총론, 공개제1판, 2008.
· 이형국, 형법총론, 개정판, 법문사, 1999.
· 정영석, 형법총론, 제5전정판, 법문사, 1987.
· 천진호, “미수범이론의발전과전망”, 형사법연구제18호(한국형사법학회,2002).
· 천진호, “불능미수범의‘위험성’ 표지에대한해석의오류”, 고시계통권535호(2001.9).
· 천진호, “불능미수범의위험성판단- 해석상의오류를중심으로-”, 비교형 사법연구창간호(한국비교형사법학회, 1999).
· 한상훈, “불능미수에서결과발생의불가능과위험성의구별기준”, 제193회형사판례연구회발표논문(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08.4),
· 한정환, “형법제27조의취지 요건 적용기준”, 형사법연구제19권제3호(통권제32호)(한국형사법학회, 2007.9).
· 홍영기, “불능미수의가능성표지- 장애미수와불능미수의구별요건-”, 형사법연구제20권제1호(통권제34호)(한국형사법학회, 2008.3).
· 이상돈, “중지미수에서 자의성 개념의 기호론적 재구성”, 저스티스 33,1(2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