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자본주의
- 최초 등록일
- 2003.04.29
- 최종 저작일
- 2003.04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유교자본주의론의 등장
2. 유교자본주의를 바라보는 두가지 시각
▲ 긍정적 유교자본주의론적 입장
▲ 비판적 유교자본주의론
3. 논의해볼 문제와 우리 조의 입장
1) 한국 자본주의는 유교자본주의인가?
2) 과연 유교(문화)가 동아시아 경제발전에 촉진제 역할을 하였는가? 그렇지 않다면 다른 어떠한 요소로 설명될 수 있겠는가?
3) 유교자본주의가 서구와는 다른 문화적 전통과 자본주의 역사를 지닌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 더 적합한 경제성장(근대화) 모델인가?
4. 우리조의 유교자본주의에 대한 전체적 생각
본문내용
. 유교자본주의론의 등장
유교자본주의론은 1960, 70년대 이른바 유교문화권이라고 일컫는 동아시아 국가들, 즉 일본을 비롯한 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의 비약적인 경제발전으로부터 제기되었다. 세계의 여타 권역과 비교할 때 두드러진 이들 동아시아 지역의 자본주의 경제발전이라는 공통적 현상에 주목한 사회학자와 경제학자들은 그 원인을 다각도로 구명하는 과정에서 결국에는 이 지역의 문화적 공통성에 주목하게 되고, 문화적 요인 중에서도 핵심적인 요소로 유교를 제시함으로써 유교자본주의론이 대두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들이 제시한 이들 동아시아 국가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대체로 교육중시 풍토, 개인보다는 집단을 중요시하는 의식(집단주의), 혈연/지연/학연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의식, 엘리트(관료와 지식인)에 의해 이끌어지는 사회라는 특징 등이 있다. 또한 이들 국가들은 합리주의와 시민사회를 기반으로 자생적으로 발전한 서구 자본주의와는 달리 외부로부터 자본주의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강력한 정부에 의한 국가주도형 산업화라는 특징을 나타낸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