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주의와 진단주의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자세히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3.10.29
- 최종 저작일
- 2013.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진단주의
2. 기능주의
3.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차이
1) 인간성의 이해의 차이
2) 사회사업의 목적의 차이
3) 과정개념의 이해의 차이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갈등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을 행하는 진단주의 학파와 랭크의 이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를 행하는 기능주의 학파 사이에 논쟁이 발생하였다. 진단주의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을 기초로 문제의 진단과 치료의 과정으로서 사회사업가가 클라이언트에 지지적으로 원조하는 입장을 취하는데 대해 기능주의는 프로이드의 제자 Rank의 이론을 기초로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게 되는 자아의 힘을 자주적으로 가장 잘 기능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것으로 양 입장은 서로 경쟁적으로 케이스워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기능주의와 진단주의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자세히 기술해 보겠다.
<중 략>
최근에는 각각의 이론들이 자신의 입장만 강조한 협소한 실천이론 및 기술발달에 이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통합적, 체계적 시각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사회복지가 과연 전문직인가 하는 논란의 와중에서 사회복지실천을 구성하는 공통점과 상이점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사회복지전문식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기여하였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통합적 접근이 기존의 방법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이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의 공통점을 묶어내고, 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다양한 체계에 대한 사정과 개입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을 돕고자 하는 것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김상균(2010). 사회복지개론. 나남.
최옥채(1999). 사회복지실천론, 인간과 복지.
이영호(2008).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공동체.
조휘일.이윤로(1999).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나동석․서혜석(2008). 사회복지실천론. 학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