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주의와 진단주의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자세히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03.17
- 최종 저작일
- 2020.03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진단주의
2. 기능주의
본문내용
Freud의 정신분석이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을 행하는 진단주의 학파는 개인의 과거 경험을 중심으로 개별 접근한다. 공황 이후 개인의 문제가 사회 환경에 있음을 인식하고 기능주의 학파가 등장한다.
두 학파 간의 갈등은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원리, 그리고 방법론상의 발전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진단주의 학파가 사실상 인간에 대해 자아심리학에 기초하여 보다 낙관적인 견해를 수용하였다 하더라도 기능주익 학파와의 분열은 깊게 남게 되었고, 약 25년 동안 심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1950년대에 혼란이 어느 정도 제거되고 안정되었을 때 기능주의는 사라져버리게 되었다.
그러나 성장과 변화를 위한 자극제로서 과정의 개념과 치료적 관계를 포함하는 기능주의의 많은 이론과 태도, 기술들은 사회사업실천을 발전시키는 데 남아 있게 되었다.
1. 진단주의
진단주의는 Richmond(1917)의 湖진됐의 흐름을 이어받으면서 Freud 정신분석학의 개념과 방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