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임진왜란

"임진왜란"에 대한 내용입니다.
2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10.12 최종저작일 2013.09
24P 미리보기
임진왜란
  • 미리보기

    목차

    1. 임진왜란에 대한 명칭

    2. 임진왜란 전의 동아시아
    1) 조선의 정치 상황과 사림의 집권
    2) 명의 쇠퇴와 북로남왜
    3) 일본의 전국시대 통일

    3. 동아시아 각국 대외관계
    1) 사대와 교린의 조선
    2) 대외관계 중심의 명
    3) 무역국으로 성장한 일본

    4. 국제전으로써 임진왜란의 전개
    1) 전쟁의 발발과 전개
    2) 수군과 의병의 활약
    3) 강화회담과 정유재란

    5. 임진왜란 이후 동아시아
    1) 전후 조선의 대내외 상황
    2) 명의 쇠락과 왕조 교체
    3) 일본의 정권 교체와 조일 국교 재개

    본문내용

    1592년(선조 25) 조선에서 일어난 임진년의 전란은 같은 해 4월 14일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1번대 병선 7백여 척과 1만 8천여 병력이 부산포에 상륙하여 부산진과 동래성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된 지 200년 만에 나라의 운명을 뒤흔드는 전쟁이 일어난 것이다. 일본에서는 이 전쟁을 '분로쿠 게이초(文祿慶長)의 역(役)' 혹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조선 침략'이라 부르고 있다. 또 중국에서는 '만력동원(萬曆東援)' 혹은 '만력원조(萬曆援朝)'라고 한다. 북한에서는 이를 '임진조국전쟁'이라 칭하고 있다. 서양에서는 'Hideyosi's Invasion of Korea : 1592-1598'이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한국에서 이 전쟁을 '임진왜란(壬辰倭亂)'이라고 부른 것은 조선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임진년의 왜적' 또는 '임진년의 변란'이라고 하다가 임진왜란으로 정착된 것이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 따르면 임진왜란이란 명칭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있었던 일본과의 전쟁을 총칭하는 말이다. 한말(韓末)의 교과서나 일제시대의 한국 측 서술에서는 '임진난'으로 표현되다가 1946년 김성칠의 『조선역사』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임진왜란이란 용어가 사용되어 한국사의 학술용어로 정착되었다. 이러한 성격의 명칭이 변하지 않고 4백여 년 동안 사용되었다는 것은 임진왜란을 보는 시각이 현재까지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2. 임진왜란 직전의 각 국 상황

    1) 조선의 정치 상황과 사림의 집권

    16세기 초반은 조선의 역사에 있어 중요한 전환기였다. 세조의 패정과 연산군의 난정을 거치면서 조선왕조는 크게 동요하고 있었다.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을 통해 연산군 정권이 무너지고 중흥의 기운이 높아졌지만, 박원종(朴元宗), 유순정(柳順汀), 성희안(成希顔) 등 정변을 주도한 공신들의 행태는 과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참고자료

    · 『朝鮮王朝實錄』
    · 『燃藜室記述』
    · 『亂中日記』
    ·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동아시아 세계와 임진왜란』, 경인문화사, 2010.
    · 한일문화교류기금 동북아역사재단 편, 『임진왜란과 동아시아 세계의 변동』, 경인문화사, 2010.
    ·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 이장희, 『임진왜란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7.
    · 정두희 이경순,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 조원래, 『새로운 관점의 임진왜란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5.
    · 강문식, 「임진왜란기 영,호남 의병활동의 비교」, 『남명학연구』16, 남명학회, 2011.
    · 강진아, 「16~19세기 동아시아무역권의 세계사적 변용따라잡기형 발전모델의 모색」『동아시아의 지역질서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창비, 2005.
    · 김강녕, 「임진왜란의 전황과 교훈에 관한 연구」, 『서석사회과학논총』1,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 김강식, 「임진왜란 시기 경상우도의 의병 조직의 변화와 의미」, 『지역과 역사』9, 부경역사연구소, 2001.
    · 김문자, 「任辰倭亂期 일본사료연구 : 풍신수길의 조선침략관련 사료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30, 경인문화사, 2008.
    · 구태훈, 「임진왜란 전의 일본사회 전국시대 연구 서설」, 『사림』29, 수선사학회, 2008.
    · 김현영, 「16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왜란 전후 조선사회의 변화」, 『한국사학사학보』26, 한국사학사학회, 2012.
    · 계승범, 「임진왜란 중 조명관계의 실상과 조공책봉관계의 본질」, 『한국사학사학보』26, 한국사학사학회, 2012.
    · 민덕기, 「임진왜란의 戰後처리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한일관계사연구』36, 한일관계사학회, 2010.
    · 민덕기, 「임진왜란 초기의 전개상황과 그 배경」, 『전북사학』39, 전북사학회, 2011.
    · 이완범, 「임진왜란의 국제정치학:일본의 조선분할요구와 명의 對조선 종주권 확보의 대립」, 『정신문화연구』25,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 이지영, 「임진왜란과 대외관계」, 『역사와 교육』4, 역사와 교육학회, 1996.
    · 윤유숙, 「임진왜란 발발전 한일교섭의 실태」, 『한국일본어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7, 2006.
    · 조재곤, 「壬辰倭亂 시기 朝鮮과 明의 문화교류」, 『아시아문화연구』6,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2.
    · 정구복, 「임진왜란의 역사적 의미 壬辰倭亂에 對한 韓 日 兩國의 歷史認識」, 『한일역사 공동연구보고서』2,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 정홍준, 「임진왜란 직후 정국의 추이와 북인정권의 성립」, 『사총』34,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1988.
    · 하우봉,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서의 임진전쟁」, 『한일관계사연구』39, 경인문화사, 2011.
    · 한명기, 「임진왜란 직전 동아시아 정세」, 『한일관계사연구』43, 경인문화사, 2012.
    · 한명기, 「임진왜란 시기 ‘재조지은’의 형성과 그 의미」, 『동양학』29,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9.
    · 한명기, 「‘재조지은’과 조선후기 정치사 임진왜란~정조대 시기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5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7.
    · 한명기, 「16, 17세기 명청교체와 한반도」, 『명청사연구』22, 명청사학회, 2004.
    · 한문종, 「임진왜란 직전의 국내정세와 한일관계」, 『인문과학연구』21,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 홍성덕, 「임진왜란 직후 일본의 대조선 강화교섭」, 『한일관계사연구』3, 한일관계사학회, 1995.
    · 홍성덕, 「일본 역사개설서 및 사전류 서술 내용 분석 임진왜란 및 통신사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25, 경인문화사, 2006.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