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朝鮮王朝實錄』
· 『燃藜室記述』
· 『亂中日記』
·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동아시아 세계와 임진왜란』, 경인문화사, 2010.
· 한일문화교류기금 동북아역사재단 편, 『임진왜란과 동아시아 세계의 변동』, 경인문화사, 2010.
·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 이장희, 『임진왜란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7.
· 정두희 이경순,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 조원래, 『새로운 관점의 임진왜란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5.
· 강문식, 「임진왜란기 영,호남 의병활동의 비교」, 『남명학연구』16, 남명학회, 2011.
· 강진아, 「16~19세기 동아시아무역권의 세계사적 변용따라잡기형 발전모델의 모색」『동아시아의 지역질서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창비, 2005.
· 김강녕, 「임진왜란의 전황과 교훈에 관한 연구」, 『서석사회과학논총』1,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 김강식, 「임진왜란 시기 경상우도의 의병 조직의 변화와 의미」, 『지역과 역사』9, 부경역사연구소, 2001.
· 김문자, 「任辰倭亂期 일본사료연구 : 풍신수길의 조선침략관련 사료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30, 경인문화사, 2008.
· 구태훈, 「임진왜란 전의 일본사회 전국시대 연구 서설」, 『사림』29, 수선사학회, 2008.
· 김현영, 「16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왜란 전후 조선사회의 변화」, 『한국사학사학보』26, 한국사학사학회, 2012.
· 계승범, 「임진왜란 중 조명관계의 실상과 조공책봉관계의 본질」, 『한국사학사학보』26, 한국사학사학회, 2012.
· 민덕기, 「임진왜란의 戰後처리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한일관계사연구』36, 한일관계사학회, 2010.
· 민덕기, 「임진왜란 초기의 전개상황과 그 배경」, 『전북사학』39, 전북사학회, 2011.
· 이완범, 「임진왜란의 국제정치학:일본의 조선분할요구와 명의 對조선 종주권 확보의 대립」, 『정신문화연구』25,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 이지영, 「임진왜란과 대외관계」, 『역사와 교육』4, 역사와 교육학회, 1996.
· 윤유숙, 「임진왜란 발발전 한일교섭의 실태」, 『한국일본어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7, 2006.
· 조재곤, 「壬辰倭亂 시기 朝鮮과 明의 문화교류」, 『아시아문화연구』6,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2.
· 정구복, 「임진왜란의 역사적 의미 壬辰倭亂에 對한 韓 日 兩國의 歷史認識」, 『한일역사 공동연구보고서』2,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 정홍준, 「임진왜란 직후 정국의 추이와 북인정권의 성립」, 『사총』34,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1988.
· 하우봉,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서의 임진전쟁」, 『한일관계사연구』39, 경인문화사, 2011.
· 한명기, 「임진왜란 직전 동아시아 정세」, 『한일관계사연구』43, 경인문화사, 2012.
· 한명기, 「임진왜란 시기 ‘재조지은’의 형성과 그 의미」, 『동양학』29,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9.
· 한명기, 「‘재조지은’과 조선후기 정치사 임진왜란~정조대 시기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5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7.
· 한명기, 「16, 17세기 명청교체와 한반도」, 『명청사연구』22, 명청사학회, 2004.
· 한문종, 「임진왜란 직전의 국내정세와 한일관계」, 『인문과학연구』21,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 홍성덕, 「임진왜란 직후 일본의 대조선 강화교섭」, 『한일관계사연구』3, 한일관계사학회, 1995.
· 홍성덕, 「일본 역사개설서 및 사전류 서술 내용 분석 임진왜란 및 통신사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25, 경인문화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