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엔론 사태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5.30
- 최종 저작일
- 2012.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기업분석
2.엔론 사태의 원인과 문제점
3.엔론 사태의 교훈과 시사점
본문내용
고도 성장기 : 에너지 중개시장을 창출
정부 규제하에 천연가스 및 전기를 공급하는 소규모 공공재 회사였던 엔론은 1990년대 초반 에너지 산업 규제완화를 틈타 급부상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송유관 회사를 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에너지 중개사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에너지 산업 규제 완화 이후 시장변화를 간파하고 전력 중개사업을 시작하였다. 또한 전력이 남아도는 지역과 부족한 지역간의 전기 현물 거래를 주도하고 전력수요 피크기를 대비한 선물시장도 창출하였다.
1990년대 후반 엔론은 구경제의 기반위에 신경제를 결합시킨 혁신적인 기업으로서의 평판을 구축하였다.
<중 략>
3. 금융시스템의 감시 기능 소홀
□ 엔론과 관계를 맺어 온 금융당사자들이 이해상충(글라스스티걸 법 폐지에 따라 상업은행 및 투자은행 업무 동시 영위가 허용)으로 인해 자신의 역할을 방기함에 따라 엔론의 불투명한 거래가 은폐됨
글라스 스티걸법 [Glass-Steagall Act]
1933년 미국에서 은행개혁과 투기규제를 목적으로 제정한 법으로, 핵심 내용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업무를 엄격하게 분리하는 것이다. 1999년 폐지되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대형 은행은 주식에 대한 인수 업무와 인수합병 조언 등 투자은행으로서의 업무와 대출 등의 상업은행 업무를 병행
<중 략>
□회계감독위원회(PCAOB)의 설치 및 운용
사베인스-옥슬리법의 이행을 감독하기 위한 별도 기구로서 민간 비영리법인인 회계감독위원회를 설립하였다. 동 위원회는 회계감사기준,윤리기준 등 제반 기준의 제정권한을 갖고 이를 준수하도록 기업에 종용할 수 있으며, 회계법인에 대한 검사도 수행할 수 있다.
■감사인의 독립성 강화
회계법인은 공개회사에 대한 회계감사업무와 동시에 장부기장 등 감사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매 5년마다 회계감사 담당파트너의 고체를 의무화하였다.
□내부고발자(whistle-blower)보호
투자자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는 회사의 문제점을 상사 혹은 연방정부에 제보하는 내부고발자에 대한 해고
참고 자료
엔론스캔들
뒤집어보는 경제 회계부정 이야기
삼성경제연구소「엔론 파산의 파장과 교훈」2002,
LG주간경제「엔론사 파산이 던져 준 교훈」2002,
KIEP「미 엔론사의 몰락과 교훈」2002,
DBR「엔론 몰락 가져온 잘못된 보상 체계」 2009,4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