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안락사의 정당서에 대한 고찰

"안락사의 정당서에 대한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1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04.11 최종저작일 2012.09
19P 미리보기
안락사의 정당서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목차

    Ⅰ. 서 론

    Ⅱ. 안락사의 개념 및 역사
    1. 안락사의 개념
    2. 안락사의 역사

    Ⅲ. 안락사에 대한 법률적 논거들
    1. 안락사 허용을 지지하는 논거
    2. 안락사 허용을 반대하는 논거
    3. 소결

    Ⅳ. 법률적 연구 방법 및 해소방법
    1. 헌법적 가치 충돌의 해소방법
    2. 형법상 원리와 충돌의 해소방법

    Ⅴ. 안락사 허용에 따른 향후 과제 및 전망
    1. 안락사에 대한 세계적 현황
    2. 안락사의 법제화
    3. 사전의사결정제도의 도입
    4. 이익의 존중

    Ⅵ.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의학이 발달하고 삶의 질이 좋아지면서 사람들의 수명은 계속 늘어나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100세 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하지만 수명이 늘어난 것이 꼭 좋은 면만 있는 것은 아니라서, 소생가능성이 없는 환자가 임종까지 병원에서 보내야하는 시간과 그로인해 지출되는 비용 또한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람이 평생 지출하는 의료비의 절반이 죽기 전 마지막 6개월에 사용된다고 하니, 환자는 길어진 죽음의 시간만큼 고통과 두려움을 더 견뎌야 하고 그 가족들은 가족을 떠나보내는 슬픔과 함께 쌓여가는 의료비의 압박을 짊어져야만 하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지난 1997년 발생했던 보라매 병원 사건에서는 의료비를 이유로 가족들이 퇴원을 요구했고 2009년 김 할머니 사건에서는 ‘기계로 연명하고 싶지 않다.’는 할머니의 과거 의사를 바탕으로 가족들이 연명치료 중단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 두 사건을 계기로 우리 사회에서 안락사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되며, 2011년 조사 기준으로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찬성률은 72.3%에 달했고 지난 18대 국회에서는 ‘존엄사법’이 상정되기도 했다. 의료계의 변화도 눈에 띄는데, 개정된 의사 윤리 지침을 보면 환자의 생명 보호를 1순위로 여겼던 종전의 태도에서 회생가능성 없는 환자에 대한 연명치료중단에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환자의 권리를 인정하며 품위 있는 죽음을 맞도록 노력한다고 표시하는 등 소극적 안락사에 대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안락사의 법제화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 가고 있다. 법에 의한 무조건적인 생명보호와 그들의 의사를 존중한 연명치료 중단 중 어느 쪽이 진짜 그들을 위한 일인지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인위적으로 숨만 붙어있는 삶이 인간다운 삶인지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는 것이 더 인간적인 삶인지. 보라매 병원 사건으로부터 15년, 김 할머니 사건으로부터 3년이 지났다. 우리 대법원에서는 김 할머니 사건의 판결을 통해 일정한 요건아래 존엄사(소극적 안락사)를 인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성문법주의인 우리나라에서 형법상 살인으로 처벌되는 일이 법률의 근거 없이 판례만으로 이해될 수 있을까?

    참고자료

    · 권복규·김현철 공저, 「생명 윤리와 법」,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 권영성, 「헌법학원론」,법문사, 2007.
    · 경실련,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을 위한 입법제안 심포지엄」, 경실련, 2008.
    · 김천수, “안락사 내지 치료중단과 불법행위책임, 죽음에 대한의료의 개입과 중단”,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집」, 대한의료법학회, 2005.5.
    · 나달숙, “헌법상 인간의 존엄과 안락사 - 자기결정권과 관련하여”, 「사회과학연구 제10 권」, 2003.
    · 문국진, 「생명윤리와 안락사」, 여문각, 1999.
    · 미셸 오트쿠베르튀르 (김성희 역), 「안락사를 합법화해야 할까?」, ㈜황금가지, 2006.
    · 미하엘 데 리더 (이수영 역), 「우리는 어떻게 죽고 싶은가?」, 학고재, 2011.
    · 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06.
    · 백남억, 「형법총론」, 법문사, 1960.
    · 손명세, “우리 사회의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연명치료 중단”, 「생명의 신학 제1집」, 연세대학교 기독교 문화연구소, 2003.
    · 신현호, “존엄사 허용여부”,법률신문, 2008.6.23.
    · 이상돈, “안락사의 절차적 정당화”,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른 의료법의 대응」, 한일법학 제18집, 세창출판사, 1999.
    · 이석배,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절차 ”,「형사법연구 제21권제2호」, 한국형사법학회, 2009. 6.
    · 이인영·김미숙, “생명권에 대한 인식도 및 생명윤리교육현황 조사 ”, 「생명인권보호를 위한 법정 책」, 2004.
    · 이안 다우비긴 (신윤경 역), 「안락사의 역사」, 섬돌, 2007.
    · 임웅, 「안락사의 정당화」, 고시연구, 1999.12
    · 전지연, “안락사에 대한 형법적 고찰”, 「한림법학 제4권」, 1994/1995.
    · 정성근·박광민 공저, 「형법총론」, 삼지원, 2003.
    · 정종섭, 「헌법학원론」,박영사, 2007.
    · 정현미,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형사정책연구 제18권 제3호」,2007.
    · 한정환, “의식불명인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사의 치료의무”,「형사법연구 제18호」, 2002.
    ·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7.
    · Bottke, “Totung auf verlangen und Sterbehilfe: Steuert ein Eignerrecht am eigenen Leben die rechtlicheRegulierung?” (김성돈역), 「형사법연구 제16권 특집호」, 2002.
    · D. Humphry(김종연.김설아 역), 「마지막 비상구」, 지상사, 2007.
    · J. Locke(이극찬 역),「시민정부론」,연세대 출판부, 1970.
    · Aries, P. Geschichte des Todes, 4. Auflage, Munchen, 1989.
    · BGH, NJW 1978.
    · Compassion in Dying v. Washington[1994] 850 F.Supp. 1454.
    · Compassion in Dying v. Washington[1995].
    · Engelhardt, v. D. “Euthanasie zwischen Lebensvekurzung und Sterbebeistand”, Schleiswig-Holsteinisches Arzteblatt 9, 2007.
    · Frewer, Frewer, A., ‘Geschichte und Ethik der Euthanasie: Der “gute Tod und die Aufgaben der Medizin’, Brandenburgisches Arzteblatt 11, 2001
    · Furrow/Greaney/Johnson/Jost/Schwartz, supra note 43.
    · U. Der gute Tod Euthanasie und Sterbehilfe in Geschichteund Gegenwart, Munchen, 1999.
    · I. Kant,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Kant Werke Bd. 6, Wissenschaft Buchgesellschaft, 1956.
    · J. Feinberg, “Voluntary Euthanasia and the Inalienable Right to Life”, 7 Phil. & Pub. Aff. 93, 1978
    · LG Karlsruhe, NJW 1992.
    · Meltzer, 「E. Das Problem der Abkurzung lebensunwerten Lebens」, Halle, 1925.
    · PHYSICIAN-ASSISTED SUICIDE IN OREGON:A MEDICAL PERSPECTIVE
    · P. Previn, “Assisted Suicide and Religion”, 84 Geo. L. J. 1996.
    · Revolutionary Worker, “Opponents of Right to Die Are Undermining Democracy in America”, in: J. Woodward(ed.), The Right to Die, Thomson Gale, 2006.
    · Rodriguez v. British Columbia[1993].
    · Ronald Dworkin/Thomas Nagel/ Robert Nozick/John Rawls/ Thomas Scanlan/ Judith Jarvis, “Assisted Suicide: The Philosophers Brief Amici Curiae in Support of Respondents”, A Heath Law Reader -An Interdiciplinary Approach, Carolina Academic Press, 1999.
    · 대한의사협회, 의사윤리지침, 2006.4.22.개정, 제16~18조 참조. <http://www.kma.org> 2012.07.19. 검색
    · 이성훈,「네덜란드, 환자 집 찾아가는 방문 안락사 세계 첫 시행」, 『조선일보』, 2012.03.02.,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3/02/2012030200092.html> 2012.07.19. 검색
    · 이호기, 「국민 10명중 7명 안락사 찬성」, 『한국경제』, 2012.01.19.,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011927571> 2012.07.19. 검색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