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2021 [간호윤리학 or 노인간호학] 적극적,소극적 안락사 또는 연명치료에 대한 윤리 철학적 근거 와 의료인적 견해
- 최초 등록일
- 2021.04.02
- 최종 저작일
- 2021.04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소개글
"A+ 2021 [간호윤리학 or 노인간호학] 적극적,소극적 안락사 또는 연명치료에 대한 윤리 철학적 근거 와 의료인적 견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의
1) 서론
2) 안락사란
2. 현황
1) 우리나라의 안락사 현황
2) 세계의 안락사 현황
3. 윤리철학적 관점
1) 안락사를 찬성하는 윤리 철학적 관점
2) 안락사를 반대하는 윤리 철학적 관점
4. 안락사의 합법성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정의
1. 서론
각 세계의 안락사 합법화 추진으로 인해 ‘인간다운 죽음’의 딜레마가 철학적 토론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되었다.
훗날 미래의 생명을 책임질 한명의 의료인으로서, 이와 같은 보건 정책을 담당할 수 있기 위해서는 ‘죽음’과 ‘존엄’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이라 생각한다.
숱한 죽음을 가까이서 지켜보아야 하고,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투병하는 이들에게 진정 ‘존엄하게 살 권리’란 무엇인가에 대해 개인적, 나아가 사회통합적인 윤리준칙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현재 그러한 준칙을 공동체적 입장에서 준비하는 단계에 이르러있다.
명확하고 올바른 생명관 없이 의료를 행하는 것은 비윤리적 행위라고 생각하는 바,
이와 같은 세계문제를 주제로 다루고자 한다.
2. 안락사란
안락사란 불치의 중병 등의 이유로 치료 및 생명 유지가 무의미하다고 판단되는 생물에 대하여 직간접적 방법으로 생물을 고통 없이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영어의 euthanasia는 <좋은 죽음>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안락사는 거시적으로 적극적 안락사와 소극적 안락사로 분류하기도 하거나, 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순수한 안락사는 죽음의 고통 완화를 목적으로 모르핀 투여가 행하여지며, 그것이 병자 생명의 단축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에 시행된다.
둘째, 간접적 안락사는 그와 같은 조치가 불가피하게 병자의 생명을 약간 단축하는 경우 이다.
참고 자료
마이클센델 . 「 정의란 무엇인가 」 . 2010. 김영사 .
토니호프 . 「 안락사는 살인인가 」 .2011. 한겨레출판사 .
최지윤 외 . 「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박찬구 . 「 우리들의 윤리학 」 . 2006 . 서광사 .
지식채널e . http://home.ebs.co.kr/jis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