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평생교육 정책 연구
- 최초 등록일
- 2013.03.27
- 최종 저작일
- 2012.02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1.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II. 본론
1. 이론적 배경
2. 대학평생교육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3. 정책 대안 및 기대 효과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우리나라 대학평생교육의 역사는 그다지 긴 것은 아니지만 짧은 기간동안 양적으로는 많이 팽창되어 왔다. 이러한 양적 팽창과 함께 국민의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고 국민 개개인의 지위나 신분에 관계없이 교육의 기회 확대를 통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개인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대학 평생교육의 질적 제고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대학내부 조직과 제도면에서 기관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고 있는지, 지역 주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는지, 대학이라는 조직의 생존을 위해 평생교육이라는 하나의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등 문제점을 지적해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대학이 수행하는 대학평생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대안 제시를 통해 대학평생교육이 보다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래 다음과 같이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우리나라 대학평생교육 정책의 내용과 특징은 무엇인가?
나. 우리나라 대학평생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은 무엇이며 평생교육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대안은 무엇인가?
3.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우리나라 대학평생교육에 관련된 국내의 각종 문헌과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종 서적, 연구 실적물, 관련기관(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교유과학기술부, 평생교육진흥원, 교육개발원 등)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참고 자료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2002). 평생교육백서 6호.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2004). 평생교육백서 8호.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2006). 평생교육백서 9호.
교육과학기술부·평생교육진흥원(2008). 평생교육백서 11호.
교육과학기술부·평생교육진흥원(2009). 평생교육백서 12호.
김도수(2001). 평생교육. 양서원.
김도수(1994). 사회교육학. 교육과학사.
박지연(2004). 한국 대학평생교육의 운영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백은순(2009). 대학평생교육 지원 정책의 성과와 과제. 제1차 평생교육 정책포럼.
우화, 최은수(2007).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평생교육정책 분석. HRD 연구. 3(2), 23-44.
윤미란(1998). 한국 대학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장덕강(2006). 한․중 대학평생교육체제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장성민(2008). 대학 평생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 전북대학교.
최옥이(1999). 한국 대학평생교육의 미래 예측.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최은숙(2002). 한국 대학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한상훈(2001). 대학평생교육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교수 발전논총.
한상훈(1998). 우리나라 대학사회교육의 동향.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홍미례(2002). 대학 성인평생교육 발전과정과 운영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