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heese의 건강적 의미
1) 치즈는?
치즈는 전 세계의 다양한 발효식품 중에서도 유제품의 꽃이라 불리며, 그 역사가 기원전 6천년으로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랜 세월동안 우리의 밥상을 지켜온 식품이다. 치즈의 어원을 보면, 영어로는 cheese(치즈), 독일어로는 kase(카제), 이탈리아어로는 fromaggio(프로마지오) 등으로 불리며, 라틴어의 caseus(카세우스)에서 유래되었다. 우유를 원료로 하여 단백질과 지방질을 농축시켜 만든 발효식품으로 발효과정에서 주요 성분들이 분해되므로 체내에서 소화흡수가 용이한 고급식품이다.
치즈는 제조방법에 따라 천연치즈와 가공치즈로 나눌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천연치즈의 종류는 5백여 가지에 달한다. 이는 곰팡이 균을 사용해 발효 및 숙성시킨 것이기 때문에 먹을 때까지 유산균이 살아있다. 또한, 저장성이 좋고 기타 식품첨가물이 없는 자연식품으로 누구나 안심하고 먹어도 좋은 식품이다. 따라서 치즈의 생산과 소비량은 다른 유제품과는 달리 세계적으로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중 략>
다섯째, 안토시아닌이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최근 미국 미시간 대학교 무라리 나이르 박사팀의 연구에 의하면, 안토시아닌 성분에 항당뇨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토시아닌 성분이 췌장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안토시아닌을 투여한 쥐들은 안토시아닌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그룹에 비해 췌장에서 인슐린 생성량이 50% 정도까지 증가했다면서 사람들도 안토시아닌을 풍부히 함유한 과일을 많이 먹으면 인슐린 생성량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하는 한편, 당뇨병을 예방하고 치유하는데 안토시아닌이 가장 효과적인 것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여섯째, 안토시아닌은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의 성분으로 혈관에 침전물이 생기는 것을 막아 피를 맑게 하며 심장질환과 뇌졸중 위험을 감소시킨다. 1989년 세계보건기구에서 전 세계인을 조사한 바에 따라 프랑스인의 지방섭취량이나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미국인이나 영국과 비슷함은 물론 흡연이나 혈압과 같은 다른 요인도 서구 여러 나라와 유사한데 프랑스인의 심장병 사망률이 현저히 낮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 허태련, 치즈성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가공협회, 1992년, p. 14~19
· 윤여창, 우유와 유제품, 유한문화사, 2004년, p. 123~129
· 김일성, 식품과 건강, 신광문화사, 2004년, p. 197~198
· 전수진, 잘먹고 잘사는 법2, 가치창조, 2006년, p. 128~136
· 박승용, 우유 생산과 가공, 유한문화사, 2003년, p. 267~269
· 정충일, 축산식품 미생물학, 2005년, p. 107~115
· 이명기, Probiotics와 Prebiotics 유래 기능성 식품, 식품기술 제15권 제1호, 한국식품연구원, 2002년, p. 55~61
· 조미희 외 3명, 천연항균제의 식품산업에의 응용, 식품과학과산업 제38권 제2호,한국식품과학회, 2005년, p. 41~43
· 정충일, 축산식품 미생물학, 유한문화사, 2005년, p. 248~249
· 이나경 외 3명, 축산업 분야에서의 박테리오신의 산업적 이용 및 향후 전망, 한국축산식품학회지 제28권 제1호, 한국축산식품학회, 2008년, p. 1~6
· 이철호, 식품저장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년, p. 176~179
· 이영순 외 2명, 고급 영양학, 광문각, 2007년, p. 129~136
· 장판식 외 4명, 이해하기 쉬운 식품효소공학, 2010년, p. 343~349
· 윤여창, 우유와 유제품, 유한문화사, 2004년, p. 125~127
· 김귀영 외 6명, 발효식품, 교문사, 2009년, p. 185~187
· 이삼빈 외 3명, 발효식품학, 효일, 2004년, p. 289~290
· 홍태희 외 4명, 현대 발효식품학, 지구문화사, 2004년, p. 212~214
· [생활 과학] 발효 과학이 웰빙음식 만들죠. 생활속에 숨어있는 과학 ②발효, <매일 경제>, 2007. 11. 27,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649597
· 고정삼, 식품산업의 이해, 유한문화사, 2002년, p. 182~189
· 강경희 외 8명, 블루베리, 표준영농교본-164, 농촌진흥청, 2008년, p. 81~88
· 한덕룡, 아로니아 내 몸을 살린다, 모아북스, 2011년, p. 35~52
· 이송미, 공해천국 우리집, 소담출판사, 2004년, p. 272~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