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도르노, 홍승용 옮김『미학이론』문학과 지성사, 1984.
· 발터 벤야민, 반성완 역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민음사, 1983.
· 서영채, 「단편소설과 상품미학」 살림, 상상 1993 가을.
· 양건열, 비판적 대중문화론, 현대미학사, 1997.
· 이인화,장정일, 「UR시대의 문화논리」 살림, 상상 1994 봄.
· 제임슨,백낙청, 「마르크시즘, 포스트모더니즘, 민족문화운동」 창작과 비평사, 창작과 비평』1990 .
· Garnham, N.「매스커뮤니케이션의 정치경제학」 이상희, 커뮤니케이션과 이데올로기, 한길사, 983.
· Golding, P,Murdock, G., 「문화,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정치경제학」 김지운 외 역, 현대언론과 사회, 나남, 1993.
· Herman, S,McChesney, R., 강대인,전규찬 역, 글로벌미디어와 자본주의, 나남출판, 1998.
· Jallly, S., 「문화의 정치경제학」 김지운 편, 매스미디어정치경제학, 나남, 1990.
· Jameson, F., 「포스트모더니즘-후기자본주의 문화논리」 정정호,강내희 역, 포스트모더니즘론, , 1989.
· Larrain, J., 한상진,심영희 역, 현대사회이론과 이데올로기, 한울, 1984.
· Diedrich Diederichsen ADORNO The Possibility of The Impossible, Lukas & Sternberg, New York, 2003.
· Marx, K., “The German Ideology,” McLellan, D., Karl Marx: Selected Writings,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 Th. Adorno und M. Horkheimer, Dialektik der Aufklärung (1947), Frankfurt/ Main, 1971.
· Th. Adorno, Kulturkritik und Gesellschaft I, Ffm, 1977.
· Th. Adorno, Negative Dialekik, Frankfurt/Main, 1981.
· Mosco, V., 김지운 역, 커뮤니케이션정치경제학, 나남출판, 1999.
· Murdock, G,Golding, P., “자본주의와 커뮤니케이션,” 이상희 편저, 커뮤니케이션과 이데올로기, 한길사, 1983.
· Shiller, H., “문화생산의 정치경제학,” 김지운 편, 매스미디어정치경제학󰡕, 나남출판, 1990.
· Vasquez, A., 양건열 역, 예술과 사회, 이론과 실천, 1993.
· 피종호「아도르노의 영화비판」『인문논총』한양대학교 출판부, 1997.
· 최광진 「현대미술비평에 있어서의 자율성과 재현의 문제」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전태국 「막스를 근거로 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중심사상」『현대사상 키워드』동아일보사, 2004.
· 이용성 「전지구적 포스트모던 문화생산에 관한 연구」『한서대학교 교수논총』한서대학교 출판부, 2000.
· 김유동 「아도르노의 심미적 세계체험과 예술론」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