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계 이병도박사 구순기념 초대 좌담회 속기록], {이병도박사구순기념 한국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7.
· [두계 이병도박사 연보], {진단학보} 제71.72합집, 1991.
· [사학자 이병도의 우봉이씨 집안 -주간연재 신명가(2)-], 조선일보 1995.1.11.(27)
· 기전외 저, 이기동 역, [일본에 있어서의 한국사연구의 전통], {일본인의 한국관}, 일조각, 1983. ; {한국사시민강좌} 제1집, 일조각, 1987.
· 기전외 저, 이기동 역, [진전좌우길의 한국사연구], {일본인의 한국관}, 일조각, 1983.
· 기전외 저, 이기동 역, [한국사연구를 돌이켜보며], {일본인의 한국관}, 일조각, 1983.
· 김영한, [실증주의사관 -콩트와 버클을 중심으로-], {사관이란 무엇인가}, 청람, 1980.
· 김영호, [역사인식의 두 조류], {문학과 지성} 1977년 여름호(제8권 2호, 통권28호).
· 김용섭, [일본·한국에 있어서의 한국사서술], {역사학보} 31, 1966.
· 김용섭, [우리나라 근대 역사학의 발달], {문학과 지성} 1971년 여름호(제2권 2호, 통권4호). ; 이우성·강만길 편, {한국의 역사인식 하}, 창작과 비평사, 1976.
· 김용섭, [우리나라 근대 역사학의 발달 2 -1930.40년대의 실증주의력사학], {문학과 지성} 1972년 가을호(제2권 3호, 통권5호).
· 김원룡, [삼국시대의 개시에 관한 일고찰 -삼국사기와 낙랑군에 대한 재검토-], {동아문화},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67.
· 김정배, ['진국'과 '한'에 관한 고찰], {사총} 12.13합집, 고려대학교 사학회, 1968.
· 김정배, [한국고대사의 과거와 현재], {문학과 지성} 1973년 여름호(제4권 2호).
· 김정배, [준왕 및 진국과 '삼한정통론'의 제문제 -익산의 청동기문화와 관련하여-], {한국사연구} 13, 1976.
· 김정배, [삼한사회의 "국"의 해석문제], {한국사연구} 26, 1979.
· 김철준, [한국고대사학의 방향 -회고와 전망-],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 김철준, [한국의 역사학], {한국사학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 변태섭, [한국고대사연구 30연], {한국사의 성찰}, 삼영사, 1978.
· 변태섭, [한국사연구의 방법론문제 -새로운 문제의식과 연구방법의 요구], {한국사의 성찰}, 삼영사, 1978.
· 변태섭, [한국사학의 학풍 한 세대 -서울대학교의 한국사연구-], {한국사의 성찰}, 삼영사, 1978.
· 신형식, [한국고대사연구의 성과와 추이], {한국고대사의 신연구}, 일조각, 1984.
· 이기백, [사회경제사학과 실증사학의 문제], {민족과 역사}, 일조각, 1971.
· 이기백, [일제시대 한국사관 비판 - 일제시대의 사회경제사학과 실증사학], {문학과 지성} 1971년 봄호(제2권 1호, 통권3호).
· 이기백, [근대 한국사학의 발전], {한국사학의 방향}, 일조각, 1978.
· 이기백, [근대 한국사학에 대한 연구와 반성], {한국사학의 방향}, 일조각, 1978.
· 이기백, [현대 한국사학의 방향], {한국사학의 방향}, 일조각, 1978.
· 이기백, [반도적 성격론 비판], {한국사시민강좌} 제1집, 일조각, 1987.
· 이기백, [저술을 통해 본 두계사학], {출판저널} 47, <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