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택 시인
- 최초 등록일
- 2013.02.01
- 최종 저작일
- 2013.0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김용택 시인에 대한 과제입니다.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섬진강
1) 작품 분석
2) 시 감상의 포인트
3) 내용 정리
4) 섬진강 이해하기
2. 그 여자네 집
1) 작품 분석
2) 내용 정리
3) 표현상의 특징
4) 시적 화자의 정서
3. 콩 너는 죽었다.
1) 작품 분석
2) 작품 이해
Ⅲ. 결론
본문내용
1. 시인의 약력
시인 김용택은 1948년 전북북도 임실에서 태어나 순창 농림학교를 나왔다. 졸업 그 이듬해에 우연히 친구들을 따라 초등학교 선생 시험을 보러 간 것이 계기가 되어 스물한 살에 선생이 되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인생이 스물한 살 때 시작 됐다고 늘 큰소리친다. 산골에서 선생을 하면서 문학에 빠져들어 4년을 혼자 공부했다.
시 집
1982 년
꺼지지 않은 횃불- <섬진강>의 8편 발표
1986 년
맑은 날
1987 년
꽃산 가는 길
1988 년
누이야 날이 저문다
1989 년
그리운 꽃편지
1992 년
그대 거침없는 사랑
1994 년
섬진강을 따라가 보라
<중 략>
김용택의 등단작이자, 첫 시집이면서 대표 시집인 <섬진강>의 표제시이기도 한 이 시는 오늘의 김용택을 있게 한 작품으로, 같은 제목의 연작 시편이 30편 가까이 된다. 이시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김용택 시의 가장 큰 특징은 섬진강같이 맑고 투명하면서도진한 서정성이다. 이 서정성은 섬진강 강변 마을의 아름답고 서럽고 한맺힌 삶의 실상을 어루만져 끌어안는 그의 기막힌 언어 구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시인은 이 시에서 섬진강을 어머니의 젖줄로 하여 질박한 공동체적 삶을 살아가는 남도 사람들의 가슴 속 상처가 된 응어리진 한과 설움을 보여 주는 한편, 그들의 설움을 위무해 주는 포용력을 제시하고 있다.
<중 략>
어른들을 위한 동화를 보고 난 후에도 아무런 감정과 생각이 없었는지 말이다 ─ 그의 글 또한 마찬가지다. 의식에 호소하며 현재를 돌아보게 하고 과거를 회상하며, 미래를 꿈꾸게 하는 것이 김용택 글의 매력이다. 이것이 바로 그의 글을 최고의 글로 만들어 놓은 비법 같은 것이다.
찬찬히 생각해 본다. 그가 놓지 않으려 했던 여운과 생각, 의식의 끈은 우리가 잊고 지냈던 동심이라는 끈이 아닐까 하고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동심이라는 말은 아마 훌쩍 커버린 어린아이의 마음일 것이다. 작다고 하기엔 너무 커버린... 하지만 커버렸다고 하기엔 너무 작은...아이러니 하게도 이런 현실이 김용택 시인 같은 분을 세상에 태어나게 한 이유인 듯싶다
참고 자료
이창호, 음영철 편저, 2005, 아름다움과 진실을 찾아, 한울출판사
신경림, 2004,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우리교육
김용택, 2003, 김용택 시집<나무>, 창작과 비평사
김용택, 2001, 김용택<시가 내게로 왔다>, 마음산책
김용택, 2006, 김용택의 <교단일기>,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