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사료
· 삼국사기
· 일본서기
· 수서
· 구당서
· 신당서
· 고려사
· 김영관, 백제부흥운동의 발생 배경, 단국사학회 제36집, 2003
· 신형식, 삼국의 대외관계, 한국고대사의 신연구, 일조각, 1984
· 연민수, 7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왜국의 대한 정책,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신라의 삼국통일 전략,
· 2004
· 이도학, 백제 조국회복전쟁기의 몇 가지 쟁점 검토,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2003
· 심정보, 백강에 대한 연구현황과 문제점,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2003
· 김현구, 백강전쟁과 그 역사적 의의,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2003
· 산본효문, 백제멸망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2003
· 유불란, 백제와 왜의 정치 외교적 관계고찰을 통해 본 새로운 역사인식의 자세, 국제문화학회,
· 역사와 사회 2001
· 나동양, 한용수(역), 백제와 대륙 각국간의 교류,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백제연구, 2004
· 이도학, 삼국의 문화와 문물 교류 과정,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신라문화, 2004
· 이도학, 고구려와 백제 ; 고구려와 백제의 출계 인식 검토, 고구려연구회, 고구려연구, 2005
· 이도학, 삼국의 상호관계를 통해 본 고구려 정체성, 양기석, 고구려연구회, 고구려연구, 2004
· 이도학, 백제부흥운동에 관한 몇 가지 검토, 동국사학, 2002
· 이도학, 백제 부흥운동의 시작과 끝, 임존성,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1999
· 김주성, 고구려와 백제 ; 6~7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상호관계, 고구려연구회, 고구려연구, 2005
· 박현숙, 6세기 백제와 일본의 문물 교류와 그 배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연구, 2006
· 정효운, 고대 한일국가와 타자인식,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신라문화, 2006
· 양종국, 백제 부흥운동과 웅진도독부의 역사적 의미,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2006
· 최병식, 백제(百濟) 부흥운동(復興運動)의 시기 구분 연구, 상명사학회, 상명사학, 2006
· 김영관, 백제부흥군의 전략과 전술, 진단학회, 진단학보, 2006
· 이도학, 백제의 교역망과 (交易綱) 그 체계의 변천, 일지사(한국학보). 한국학보. 1991
· 김선민, 6(六)세기 후반 왜(倭)의 고구려(高句麗) 인식, 일본사학회, 일본역사연구, 2005
· 김수태, 삼국의 외교적 협력과 경쟁,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신라문화, 2004
· 양종국, 부흥운동기 백제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2004
· 이재석, 백제 부흥 운동과 야마토 정권, 역사학연구회, 사총, 2003
· 고소진, 백제멸망 전후 백제와 왜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 2006
· 이문기, 高句麗 滅亡期 政治運營의 變化와 滅亡의 內因, 경북대학교 역사교육과, 2007
· HD 역사스페셜 23회, 일본은 왜 백제부흥에 사활을 걸었나
· 역사스페셜 107회, 백제 최후의 날, 일본은 왜 지원군을 보냈나
· 역사스페셜 89회, 흑치상지 묘지석 1604자의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