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의 전자정부 구현
- 최초 등록일
- 2002.12.01
- 최종 저작일
- 2002.1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전자정부의 개념
Ⅱ. 전자정부 구현에 따른 이점
Ⅲ. 주요 선진국의 전자정부 구축 사례
1. 미국
2. 영국
3. 일본
4.네덜란드
Ⅳ. 우리 나라 전자정부 실태와 추진과제
1. 실태
2. 추진과제
Ⅴ.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와의 연계
Ⅵ. 결론
본문내용
Ⅰ.전자정부의 개념
『 21세기 정보화 시대. 민원인은 이제 동사무소에 가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이나 PC통신 등 사이버 공간이나 무인정보단말기(KIOSK)를 통해 각종 증명서를 발급받는다.』
『정부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도 매일같이 정부청사에 나가지 않고 가정에서 필요한 업무를 처리한다. 각 부처간 회의는 컴퓨터를 통해 영상으로 진행하고 필요하면 전자결재시스템으로 결재서류를 처리한다.』
이제는 민원인들로 북적대거나 서류로 뒤덮인 기존의 정부모습을 상상하면 큰 오산이다. 세계 각국 정부가 이미 자국 정부의 모든 기관의 근거리통신망(LAN)과 초고속망 또는 지방종합정보망을 연계한 종합적인 정부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 전자정부 구현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전자정부란 무엇인가? 전자정부란 개념은 미국 클린턴 행정부가 집권하면서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데 정보기술을 사용하고자 한다'고 발표해 시작된 개념이다. 즉 정부의 고객인 국민의 요구에 따라 국민들과 상호작용하고 국민에 봉사하는 데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정부를 만든다는 것으로 다시 말하자면 정보 기술을 행정 업무에 활용함으로써 정부 내 낭비요인을 제거해 저렴한 비용으로 폭넓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안용식 외(대영문화사), 지방정부론
이윤식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자정부의 추진방향
행정자치부. (1998). 「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 21세기 전자정부로 가는 길」
서진완 (1998), "지역개발과 지역정보화," 한국행정연구, Vol. 6, No. 4
정보통신부. (1999). 「CYBER KOREA 21」.
총무처. (1997b). 「미·캐·영의 전자정부」.
김석주(한국전산원 수석연구원) 「지방자치와 전자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