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2학년 현대소설론 공통]
1960~70년대 발표된 한국의 장편 대중소설 한 편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정독한 후,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여 정리하고 분석에 대한 방통대 과제입니다.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1960~70년대 한국문학
Ⅱ. 박경리 소설 토지를 읽고
1. 발표 매체와 대중적 인기도
1) 대하소설 토지의 발표매체
2) 소설 토지의 대중적 인기도
2. 등장인물 소개 및 서사적 기능 정리
1) 등장인물 소개 및 분석
2) 줄거리 및 서사적 기능 정리
(1) 줄거리
(2) 서사적 기능 정리
(3) 토지와 근대사
3. 대중성 획득의 요소 분석
1) 토지는 인간이 살아가는 문제
2) 인물의 형상화를 통해 제시한 인간문제
3) 생명에 대한 존중과 인물에 대한 공정한 태도
Ⅲ.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1960~70년대 한국문학
역사와 사회에 대한 주지적 인식의 바탕에서 현실을 객관적이고 비판적으로 형상화한 사실주의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래서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적 저항을 목적으로 하는 현실 참여 성격의 문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시문학에서는 419혁명과 5 16 군사 쿠데타로 이어지는 정치적 격동기를 거치면서 시민 의식을 바탕으로 정치적 부패를 고발하고 자유와 평등을 지향했다. 대표작으로 박두진의 우리는 아직 깃발을 내린 것이 아니나, 김수영의 푸른 하늘을, 폭포, 풀, 달나라의 장난이 있고,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금강, 신동문의 비닐우산, 신경림의 농무, 김지하의 오적, 황톳길, 이성부의 이 공동의 아침에, 벼랑 아래서, 김광섭의 성북동 비둘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맥락의 소설 작품으로는 김정한의 모래톱 이야기, 인간단지, 이호철의 소시민, 선우휘의 망향, 전광용의 꺼삐딴 리, 하근찬의 왕릉과 주둔군, 최인훈의 광장, 이문구의 관촌수필,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 윤홍길의 아홉 켤레 구두로 남은 사내,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등이 있다. 그리고 6․25전쟁의 상처로 인한 인간의 비참함 삶과 이념의 대립 등을 사실적으로 증언하고 새로운 각도로 파악하여 심도 있게 접근한 작품들도 창작이 되었다.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 오상원의 황선 지대, 강용준의 철조망, 밤으로의 긴 여로 등이 있다. 한편 참여문학의 강력한 전개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서정과 예술적 기교를 추구하는 문학이 꾸준히 창작이 되었다. 시문학에서는 대표작으로는 정한모의 가을에, 아가의 방, 조병화의 의자, 김남조의 겨울 바다, 설일, 너를 위하여, 이동주의 혼야, 박재삼의 흥부 부부상, 춘향의 마음, 천상병의 새, 귀촉도, 문덕수의 선에 관한 소묘 등이 있다.
<중략>
16권이라는 방대한 분량을 끝내놓고도 17권이 아쉬운 것은 그만큼 토지의 위대함을 말해주는 것이고, 다음에는 이렇게 됐을 것이라는 독자의 상상력을 펼치게 해주는 작가의 배려가 아닌가 싶다. 토지를 읽고, 한동안 감격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 였다.
다 읽고나서 되새겨보면 일제시대를 한번 훑으면서 조선 민족의 모습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에서 수많은 보석들을 캐내어 가질 수 있었다. 비록 미군의 원자폭탄에 의해서 일본이 항
복하긴 했지만 실제로 우리의 독립은 내가 캐내었던 보석들의 빛, 모든 조선인들의 한과 의지가 만들어 낸 것이다.
참고 자료
최유찬, 박경리, 새미, 2007
이덕화, 박경리와 최명희, 태학사, 2006
상허학회, 새로 쓰는 한국작가론, 백년글사랑, 2002
박경리, 한국소설문학대계 40, 책 뒤에 실린 논문, 2005
이금란, 가족서사로 본 박경리 소설 연구 - 초기단편을 중심으로, 2005
이승윤, 1950년대 박경리 단편소설 연구, 2005
김현숙, 박경리 작품에 나타난 죽음과 생명의 관계, 2004
김현주, 대중소설의 문화론적 접근, 한국학술정보, 2005
대중문학연구회, 대중문학이란 무엇인가, 평민사, 1995
대중서사장르연구회,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1 :멜로드라마, 이론과실천, 2007
조성면, 한국 근대 대중소설 비평론, 태학사, 1997
최미진, 1960년대 대중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푸른사상,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