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론 국어국문학과 2학년 공통] 1960~70년대 발표된 한국의 장편 대중소설 한 편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정독한 후,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2.10.05
- 최종 저작일
- 2012.10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현대소설론 국어국문학과 2학년 공통] 1960~70년대 발표된 한국의 장편 대중소설 한 편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정독한 후,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시오.(최인호 별들의 고향)
목차
1. 발표 매체와 대중적 인기정도를 드러내는 정보(신문 기사, 관련 논문 등), 타장르로의 각색 여부 등 소개
2. 등장인물별 소개(5~10명)와 서사적 기능 정리
3. 대중성 획득의 요소 분석
4. 감상
본문내용
1. 발표 매체와 대중적 인기정도를 드러내는 정보(신문 기사, 관련 논문 등), 타장르로의 각색 여부 등 소개
최인호의 1970년대 발표한 장편 대중소설 별들의 고향은 1972년 조선일보에 연재하며 주목을 받은 작품으로 최인호는 이 작품으로 70년대 대표적인 대중소설가로 부상하게 되었고 또한 영화로 만들어 감독으로 데뷔한 이장호는 70년대 우리 대중영화의 붐을 일으키는 장본인이 되었다. 이처럼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은 영화나 소설로 대 히트를 기록한 작품이 되었다. 특히 1974년 별들의 고향을 각색하여 개봉한 이 작품의 흥행은 46만 6천명으로 국내 최고 관객동원 기록을 세웠다. 그만큼 이 작품이 대중들에게 미친 영향은 컸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별들의 고향은 최인호의 장편소설 별들의 고향을 바탕으로 한 이장호 감독, 이희우 각본의 1974년 한국 영화였다.
<중 략>
이처럼 `별들의 고향`은 한국 대중문화사에 점 하나를 찍은 청춘영화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유흥산업 또는 흥분산업에 팔려나가게 된 여성의 발자취 또는 진입 경로를 다룬 점은 독재체제 아래서 경제개발 지상주의에 눌려 양산된 유흥업계 여성의 현실을 드러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 자본주의의 모순을 담고 있는 노동자, 농민이 아니라 극히 지엽적인 문제로서, 여성적 주체(라고도 할 수 없는 부차적인 인물인 오경아)를 내세운 대중소설작가로서의 최인호의 전략은, 그것이 신문연재소설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가, 작가 최인호가 얼마나 한국자본주의의 문제점을 피상적으로 파악했고, 그러면서도 작가로서 갖고 있는 사회적 책임감을 강변하기 위해 한국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짚어내려 한다는 거짓 제스추어를 취했는가 하는 교묘한 기만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작품적 전거를 제공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최인호,『별들의 고향』上/下, 샘터, 1994.
『별들의 고향』, 감독: 이장호 제작: 화천공사, 1974.
강현두,『현대사회와 대중문화』, 나남출판, 1998.
김경양,「최인호의 신문연재소설 연구」, 서울여대 석사 학위 논문, 1998.
김창남,『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2003.
박보희,「최인호의『별들의 고향』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8.
김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