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치, 대외정책] 중국의 대외정책 비교(모택동,등소평,강택민)
- 최초 등록일
- 2002.11.29
- 최종 저작일
- 2002.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정성을 다한 리포트입니다. 많이 이용해주세요.
목차
1.모택동 시기의 대외정책
2.등소평 시기의 대외정책
3.강택민 시기의 대외정책
본문내용
1. 毛澤東 시기의 대외정책
일반적으로 국제사회에서 국가가 추구하는 대외목표로는 국가안보와 경제적 번영, 그리고 국제적 지위의 향상을 들 수 있다. 중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외정책을 결정해왔다.
중국에서 외교정책의 목표는 최고 정책 결정자에 의해서 수립되고, 심지어는 대외전략과 대외전술까지도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왜냐하면 중국은 중앙에 권력이 집중되어 있고 공산당 일당독재가 관철되고 있는 일원적 체제였기 때문에 최고 권력자의 의지에 따라 대외정책의 방향이 결정되었다.
모택동이 최고 권력자의 위치에 있던 시기의 대외정책은 혁명적인 내용과 성격을 많이 나타내고 있다. 그는 경제발전이나 국제적 지위의 제고를 위한 수단으로 이데올로기적 요소를 중시하였다. 이는 혁명에 성공하여 사회주의의 틀을 갖추어야 하는 국내적 상황과 美蘇 냉전구조라는 국제환경이 동시에 고려된 결정이었다.
중국 대외정책에 있어서 모택동 시기라 함은 1949년부터 등소평 노선이 등장하기 직전인 1978년까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시기의 대외정책은 경제적 측면보다는 이념을 중시하면서 국내외적 환경의 변화에 적용하고 발전해온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모택동 시기 대외정책의 발전과정을 대소련 일변도시기, 평화공존시기, 중간지대론시기, 조반(造反)외교시기, 反패권투쟁시기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중국의 대외정책 - 프랑소와 주아이요, 탐구당, 1983
중국의 대외정책과 한국 - 김세웅, 고려원, 1999
혁명과 중국의 대외정책 - 반니스, 피터, 사계절, 1984
중국학개론 - 송복규 외, 동양문고,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