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 가부장제의 여성의 지위 변화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2.11.29
- 최종 저작일
- 2002.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
목차
Ⅰ. 서론
Ⅱ. 가부장제의 확립시기와 배경
Ⅲ. 가부장제의 확립 후에 여성의 지위 변화
①상속제도
②혼인제도
③활동범위
Ⅳ. 결론
본문내용
한국의 가족은 세계적인 추세의 변화에 발맞추어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산업화, 공업화되면서 전통적인 가족상에 비해 많은 변화를 띠게 되었다. 사회의 변화와 함께 가족의 변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가족주기이다. 이를 보면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가족주기가 길어지고 있는데 반해 결혼에서부터 자녀출산 완료까지의 가족형성 및 확대기는 단축되고 있다. 그리고 자녀출산완료 이후 자녀 결혼이 시작될때까지의 가족확대 완료기와 남편의 사망을 거쳐 부인의 사망에 이르기까지의 축소완료 및 가족해체기는 길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쳐 부자 중심에서 부부 중심으로 핵이 변화되었음을 의미하고, 과거의 집과 부모를 위한 자녀의 필요성보다는 사회와 자녀자신을 위한 자녀양육과 교육의 필요성을 지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성이 경제적이 생산활동에 참여한다고 해서 부부사이의 평등한 관계가 성립되 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가사노동은 여성의 일로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부부간의 역할분담과 권력구조에도 변화가 나타나 과거의 권위주의적 수직적 부부관계에서 오늘날은 평등주의적·수평적 관계로 바뀌어 가고 있다고 한다. 과거의 가부장제 가족제도 아래에서 가정생활의 모든 권위와 결정권이 가장에게 집중되었던 것이 요즘에는 부부공동결정 유형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참고 자료
한국 가족학 연구회, 가족학, 하우, 1993.
변원림, 역사 속의 한국 여인, 일지사, 1995.
한국사회사학회, 한국의 사회제도와 사회변동, 문학과 지성사, 1996.
윤서석, 현대사회와 가정 문화, 수학사, 1991.
박은봉, 한국사 뒷이야기, 실천문학사, 1997.
한국 역사 연구회,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는가 1, 청년사, 1997.
한국 역사 연구회,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는가 2, 청년사, 1997.
한국 사회사 연구회, 한국의 사회제도와 농촌사회의 변동, 문학과 지성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