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공학과 민속학의 응용
- 최초 등록일
- 2002.11.29
- 최종 저작일
- 2002.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문학공학과 민속학의 응용
1.문화공학의 이론적 모델
2. 금강산의 민속학―「선녀와 나무꾼」
1)설화의 알리기
2)설화의 참뜻
3)설화의 현대적 가치
4)설화의 캐릭터화의 의의
3.'길거리'문화행사와 캐릭터 산업
Ⅱ.민속읽기―민속학 연구방법
1. 현지조사 방법
1)현지조사 방법 개관
(1)산발적 조사 방법
(2)개괄적 조사
(3)집약적 조사
2)공동조사
(1)문제분담
(2)지역분담
3)조사준비
4)질문방식
5)현지조사의 전망
Ⅲ. 민속학 교육서설과 민요시학
1.민속학 교육서설―구비문학의 경우
1)문제제기
2)구비문학의 교육적 성격
3)구비문학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
4)민속학 교육의 새로운 방향
2.민요시학과 민요학
1)민요의 시학적 접근
2)민요형식의 시학
3)민요 전승의 시학
4)민요 주제의 시학
5)민요 전통의 시학
6)민요시의 시학
7)민요학의 전망
본문내용
문화공학은 문화유산을 다변화 시대에 부응시켜 가는 방법이고 정신문화의 고부가가치 교육산업기술로 한국적인 것을 세계인에게 주체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이고 문화소비 취향에 부응하는 고차원적인 실천작업이다. 문화공학은 다음의 것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뮨화공학은 한국적인 것 찾기 곧, 개별성의 심화에 노력해야 한다.
둘째, 인문학으로서 보편성을 위한 응용하고 방안으로 정체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해야 한다.
셋째, 문화산업으로서 벤처산업의 실천방안에 관심을 모아야 한다. 편집의 전파·영상화, 캐릭터 문제. 시뮬레이션 등 대중화 작업은 물론 연극·영화 접속 등에 대한 투자와 배려가 필요하다.
넷째, 언어인식의 가속화, 국문학의 상품화, 관광과 레저의 산업의 글쓰기, 문화정보의 끈 등을 연구해야 한다.
다섯째, 국학도로서 문화운동과 문화상품 수출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길이 모색되어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