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천 수질오염의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
- 최초 등록일
- 2012.08.07
- 최종 저작일
- 2012.08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교수님이 A+주신 레포트입니다. 믿으셔도 되는 자료입니다. 그럼 다운받아서 확인해 보세요
목차
Ⅰ. 안양천 수질오염의 실태
Ⅱ. 안양천 수질 오염의 문제점
Ⅲ. 안양천 수질개선을 위한 시민의 역할
Ⅳ. 안양천 수질 개선방안
1. 수질 개선방안
2. 친환경적인 재정비
3. 안양천 유역관리 협의회 구성 및 활동
본문내용
현재의 안양천은 하천이 갖는 3가지 기능, 즉 이수, 치수, 환경적 기능 중에서 상류지역의 일부 하천구역을 제외하면 홍수조절을 위한 치수기능만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안양천 수질은 1994년 이후 대단히 개선되었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수질등급 5등급인 10㎎/l을 초과하여 15㎎/l에서 40㎎/l까지 오염되어 있어 거의 모든 생물이 살아갈 수 없는 하천이 되어있다. 또한 안양천의 바닥에는 주변의 공단지역에서 배출된 산업폐수중의 중금속을 다량 함유한 오니가 퇴적되어 하천수질의 개선과 생태계 복원의 장애물이 되고 있다.
이런 안양천 오염의 원인인 총하수발생량은 1998년 1,569,263㎥이며, 이중 생활하수는 1,459,044㎥ , 산업폐수는 109,974㎥ , 축산폐수는 245㎥를 차지하고 있다.
이 통계에는 목감천의 상류지역인 부천시와 시흥시에 포함된 안양천 유역의 하수발생량은 포함되어 있지않으며, 다양한 지역 ( 특히 안양천 둔치의 주차장과 도로 )에 존재하는 비점 오염원은 고려되지 않은 것이다.
안양천 유역에서 발생한 하수는 통계상으로는 거의 모두 가양하수처리장과 안양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고 있다. 1994년 이후 개선된 안양천의 수질은 이들 하수처리장의 가동과 연관이 있는 것이다. 현재 군포시, 의왕시, 광명시, 부천시, 시흥시 등의 경기도 지역의 하수가 직접 안양천으로 유입되고 있어 안양천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들 지역의 하수도 2001년 완공 예정인 안양 제2 하수처리장과 광명하수처리장이 완공되면 대부분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게 계획되어있어 이후 상당한 수질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대책이 완벽히 시행된다 하더라도 몇가지 문제가 지적되어야 한다.
첫째로 안양천은 상류의 일부지역을 제외하면 하천의 치수기능만을 고려하여 저수로와 고수부지, 제방으로 정비되어있다.
참고 자료
없음